![]() |
![]() ![]() ![]() ![]() ![]() |
목차 1.영재교육의 정의 2.영재교육의 역사 3.영재교육의 방법 4.홈스쿨링 5.차별화된 교육과정 6.문제중심학습 7.영재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본문 영재교육의 정의 영재교육을 정의하기에 앞서 영재에 대해 정의를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영재와 혼동되어 사용되는 천재와 신동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먼저 천재는 하늘이 내린 재능이라고 할 정도로 극도로 뛰어난 능력을 타고나 인류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창조적 업적을 낸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역사적인 인물들을 예로 들면 모차르트, 미켈란젤로, 아인슈타인과 같은 음악, 예술, 과학과 같은 분야에 뛰어난 업적을 이루고 인류에 엄청난 영향력을 끼친 사람들을 천재라고 부를 수 있다. 또 하나 영재와 혼동되어 사용되는 신동은 어른의 수준에 버금가는 재능을 발휘하거나 오히려 더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10세 이전의 아이를 일컫는 말로 성인이 되어 창조적 업적을 남김으로써 천재로 불리는 경우도 있고 특별한 업적 없이 신동으로만 불리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바이올리니스트 장영주는 6세에 조를 바꿔 바이올린 연주 할 수 있었고 조지-찰스 형제 는 각각 9세, 6세에 태양력을 계산할 수 있었기에 신동으로 불렸다. 천재와 신동이 명확히 정의되는 반면 영재는 한 가지만으로는 정의하기 힘들다. 미국 문무성에서는 영재를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어서 훌륭한 성취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된 아동이라고 정의한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일반 지적 능력, 특수 학문 적성, 창의적 생산적인 사고, 지도력, 시각 공연 예술, 정신운동 능력 중 한 분야 이상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이는 아동을 영재라고 정의한다. Renzulli라는 학자는 평균 이상의 능력, 높은 과제 집착력, 높은 창의성의 세 가지 특성을 보유하거나 이 특성들이 발달될 가능성이 있는 아동을 영재라고 정의하였다. 우리 나라 영재교육진흥법에서는 영재를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이 필요한 사람이라고 정의를 내렸다. 키워드 영재, 교육, 정의, 능력, 영재교육 |
2017년 7월 1일 토요일
교육학 영재교육의 역사와 방법, 문제점과 해결방안
교육학 영재교육의 역사와 방법, 문제점과 해결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