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30일 일요일

환경 생태적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생태 도시

환경 생태적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생태 도시
[환경] 생태적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생태 도시.hwp


목차

Ⅰ. 문제제기
1. 온실가스와 지구온난화
2. 석유 생산 정점과 석유 의존성
3. 온실가스의 주범 도시

Ⅱ. 생태도시의 정의 개념
1. 생태도시의 정의
2. 생태도시의 유사개념

Ⅲ. 사례 연구
1. 영국의 생태도시 베드제드
2. 일본의 생태도시 츠루카와
3. 브라질의 생태도시 꾸리찌바

Ⅳ. 생태도시의 시사점
1. 충분한 생태 공간의 확보
2.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기반
3. 걷기, 자전거, 대중교통 확대
4. 폐기물의 자원순환

Ⅴ. 과제 및 발전방향
1. 기존 도시의 문제 및 해결방안
2. 생태도시의 발전방향


본문

Ⅰ. 문제제기

1. 온실가스와 지구온난화

1) 지구온난화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는 지구 표면을 데우고 지구는 이 에너지의 일부를 다시 방출한다. 지표의 온도는 태양으로부터 지구가 받아들이는 복사 에너지와 지구로부터 우주로 방출되어 나가는 복사 에너지가 균형을 이루는 점에서 정해진다.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나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일산화질소(N2O) 등의 기체는 우주로 방출되는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마치 온실의 유리와 같은 기능을 하므로 온실 가스라고 불린다. 온실 가스 때문에 지표면에서 반사된 열이 모두 우주로 방출되지 않아 지표면이 평균 15℃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자연적인 온실 효과가 없다면 지표면의 온도는 현재 상태보다 훨씬 낮아서 생물체가 살기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대기 중의 온실 가스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 흡수되는 복사열의 양이 증가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 현상을 지구온난화라고 한다.



참고문헌
1. Lynas, Mark 『6도의 악몽』. 이한중(역). 세종서적, 2008.
2. 안 르페브르 발레이디에 『석유의 종말』. 김용석(역). 현실문화, 2011
3. 박용남. 『꿈의 도시 꾸리찌바』. 이후, 2000.
4. 요시다 타로,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안철환(역). 들녘, 2004.
5. Adam Ritchie, Randall Thomas. 『지속 가능한 도시 디자인』. 이영석(역). 기문당, 2011
6. 이노우에 토시히코, 스다 아키히사 . 『세계의 환경도시를 가다』. 유영초(역). 사계절, 2004
7. 권전오 김용훈.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인천발전연구원, 2007.
8. 오대민. 『도시농업』. 학지사, 2006.



키워드
도시환경, 생태적, 생태, 환경, 도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