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31일 월요일

컴퓨터 실기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언플러그드(Unplugged)교육

컴퓨터 실기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언플러그드(Unplugged)교육
[컴퓨터 실기]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언플러그드(Unplugged)교육.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제 해결 학습 모형
1. 문제 해결 학습이란?
2. 문제 해결 학습 모형
3. 문제 해결 학습의 지도 과정
2 언플러그드(Unplugged)교육
1. 언플러그드(Unplugged)교육이란?
2. 언플러그드(Unplugged)교육의 장점
3. 언플러그드(Unplugged)교육의 예
3 지도안 작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 컴퓨터의 발명은 현대 문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으며, 현재는 사회전반에 뿌리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컴퓨터 과학의 무한한 잠재력을 바탕으로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 신경과학(Neuroscience), 의공학(Biomedical Engineering)등의 융 복합 학문이 새롭게 태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컴퓨터 과학의 밑거름이 되는 컴퓨터 교육은 응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바탕으로 하는 도구적인 활용 교육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것은 컴퓨터 상에서 정보가 처리되고 검색되는 과정, 네트워크상에서의 정보전달 과정과 같은 근본적인 컴퓨터 동작 원리에 대한 무관심의 원인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현상은 도구에 불과한 컴퓨터를 만능 기계로 오해하게 되었고, '능숙한 응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 '컴퓨터를 잘 다루는 것'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현재 컴퓨터 교육의 세계적인 동향은 '컴퓨터의 도구적인 활용 중심의 교육'에서 '정보과학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중심의 교육'으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교육 패러다임은 국내에도 반영되어 '초 중등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이 2005년 개정 고시되었고, 컴퓨터 교육 과정이 2007년 중등 '정보'교육 과정으로 개편되어 컴퓨터 과학원리 중심의 정보과학적 사고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게 되었다.
우리 조는 위와 같은 컴퓨터의 사회적 흐름을 반영하여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컴퓨터 과학의 원리를 배울 수 있는 Unplugged 교육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


참고문헌
-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 과학, 이원규 외, Human Science.
- 문제 해결 학습의 원리와 방법, 남승인, 형설출판사
- 수업모형, 윤기옥 외, 동문사


키워드
컴퓨터, 교육, Unplugged, 문제, 해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