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29일 토요일

유통관리 PRM 사례분석 및 전략

유통관리 PRM 사례분석 및 전략
[유통관리] PRM 사례분석 및 전략.hwp


목차

들어가며

본론
1. PRM
1) PRM의 정의
2) PRM 구축시 유의할 점

2. PRM 사례분석 (롯데쇼핑)
1) 협력회사 소통
2) 공정거래 자율준수
3) 공정거래 교육 및 소통
4) 협력회사 인력 육성
5) 협력회사 금융 지원
6) 상품개발 지원

3. 자사분석
1) 꽃피는 아침마을의 입점정책
2) 현재 입점정책의 문제점

4. 6조의 PRM 전략제시
1) 기존 정책 변화를 통한 전략
① 기존의 아침편지 폐지, 동영상강의 NP 시스템 도입
② 일부 카테고리의 밴터 (재판매자) 허용

2) 벤치마킹을 통한 전략
① 분기별 간담회, 일명 '꽃마 반상회'
② 꽃피는 아침마을과 협력업체와의 공동PB 상품 출시
③ 멘토시스템

3) 신규업체 및 기존업체 만족 전략
① 신규 점포 지원시스템
② 꽃피는 아침마을 오프라인 장터
③ 꽃피는 아침마들 홍보체험단 모집
④ 꽃피는 아침마을 APP
⑤ Gold업체로 선정될 시 수수료 인하제도의 혜택


결론 및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
들어가며
본 조에서는 PRM 정의를 살펴보고 '꽃피는 아침마을' 의 PRM 정책을 다시 보는 관점으로 전략을 세웠다. 그리하여 꽃마의 정책과 전략에서 현재 실효성이 없는 정책들을 변화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정책 변화를 시도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경쟁사인 롯데쇼핑의 정책을 벤치마킹하고, 세부 아이디어 실현 방안에 있어서는 신규업체만족과 기존업체 만족에 포커스를 두었다.

1. PRM
1) PRM의 정의 - CRM을 넘어 PRM으로

CRM은 CRM에서 C 를 P'로 바꾼 상태를 뜻한다. 기존의 PRM은 '제조기업이 자사가 소유한 영업망 외에 특약점이나 전문점 등의 간접 유통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 온라인상에서 간접 유통 채널의 파트너들과 상호 이익 관계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한 전략 및 활동을 의미한다. 궁극적으로 고객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PRM은 CRM과 맥을 같이 하고는 있지만 CRM이 최종 고객을 대상으로 한 직접 판매를 수행하는 기업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반면, PRM은 유통 채널을 통한 간접 판매를 수행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또한 CRM은 영업, 마케팅, 콜센터 등 제조기업 내의 고객관련 업무를 주요 관리 대상으로 하는 반면에 PRM은 제조기업과 외부 파트너 간의 고객 관련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조는 국내에서 PRM 구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판단, PRM을 CRM의 C'에서 P'로 바꾼 상태라고 정의하여 전략의 방향을 세웠다.



참고문헌
: CRM을 넘어 PRM으로, 박세정 저, 새로운 제안, 2003.06.05
'롯데백화점의 협력업체 관리 및 지원.PPT' - 롯데쇼핑 관계자 협조
PRM의 전략적 활용(LG주간경제)
PRM을 위한 CRM 구축시 유의할 점, 구인유 CIO
http://blog.naver.com/zenon74/120123787451, 국내외 PRM사례 및 이유
3M의 PRM 성공사례
PRM의 개념, 경영-마케팅 자료, 김선태 데이콤 경영 추진실 2005,04,08
영업비즈니스 포털 Anywin을 기반으로 한 삼성전자 PRM, 삼성경제연구소
국내 기업 개방형 혁신 사례,LG화학
PRM의 몇가지 개념과 성공사례, 네이버 블로그
고객 활용 PRM 전략 세우자, 디지털 타임즈


키워드
사례분석, 유통관리, PRM, 사례, 분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