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28일 금요일

마케팅 Trap-ease america 사례 분석

마케팅 Trap-ease america 사례 분석
[마케팅] Trap-ease america 사례 분석.hwp


목차
1. Martha and the Trap-Ease America investors feel they face a once - in - a - lifetime opportunity. What information do they need to evaluate this opportunity?

2. Has Martha identified the best target market for Trap-Ease? What other market segments might the firm target?

3. How had the company positioned the Trap-Ease relative to the chosen target market?

4. Describe the current marketing mix for Trap-Ease. Do you see any problems with this mix?

6. How could you change Trap-ease marketing strategy? What kinds of control procedures would you establish in connection with this strategy?


본문
1. Martha and the Trap-Ease America investors feel they face a once - in - a - lifetime opportunity. What information do they need to evaluate this opportunity?

Martha와 투자자들이 '일생에 한 번뿐인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시장과 소비자에 대한 수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이는 크게 기업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와 기업 내부 환경에 대한 정보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내적 환경 요인은 또다시 최고경영층이 주도하는 내부 환경과 마케팅부서에 의해 통제되는 내부 환경으로 나뉜다.
최고경영층이 주도하는 내부환경에는 사업영역, 기업목표, 기업문화, 마케팅부서의 역할, 기타 부서들의 역할이 있는데, Trap-Ease America의 최고경영자인 Martha는 위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보하는데 실패하였다. 그 결과, 기업의 목표를 고객지향적으로 설정하기 보다는 제품지향적으로 설정하였고 이는 마케팅실패로 돌아갔다. 다음으로 마케팅부서에 의해 통제되는 내부환경은 표적시장과 마케팅목표의 선택, 마케팅조직의 구축, 마케팅믹스의 구성과 마케팅계획의 통제가 있는데, Trap-Ease America의 전반적인 마케팅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을 볼 때 마케팅부서의 역할이 미비했음을 알 수 있다.


키워드
마케팅, TrapEase, Trap, 마케팅부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