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장애인활동지원제도는? 2. 활동지원제도의 문제점 III. 결론 1. 개선방안 2. 맺는 말 IV. 기관방문 및 인터뷰 본문 법률적 정의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 장애인 이란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따른 장애인을 말한다. 활동지원급여 란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제16조 제1항에 따른 활동보조, 방문목욕, 방문간호 등의 서비스를 말한다. 수급자 란 제9조 제2항에 따라 수급자로 인정되어 활동지원급여를 받을 예정이거나 받고 있는 사람을 말한다. 활동지원사업 이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 법에 따라 수행하는 활동지원급여에 관한 사업을 말한다. 개선방안 등급제 문제 지금까지의 장애등급 판정은 장애인 당사자의 환경과 조건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의학적 판단에만 의존해 왔다. 따라서 장애등급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첫째, 신체결손이나 기능상실로 인한 기능장애뿐만 아니라 취업유무, 사회적 참여 유무 등 사회적 장애도 함께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장애판정의 사회적 비용 부담을 경감하고, 장애등급에 따른 지원이 아닌 필요에 따른 지원으로 전환되어 사회복지서비스가 보다 보편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장애인, 장애인복지, 장애인활동, 지원제도, 활동 |
2017년 7월 30일 일요일
장애인복지 장애인활동 지원제도
장애인복지 장애인활동 지원제도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