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30일 일요일

기여입학제 찬성에 관한 보고서

기여입학제 찬성에 관한 보고서
기여입학제 찬성에 관한 보고서.hwp


목차

Ⅰ. 서론
1. 기여 입학제란?
2. 기여 입학제의 국내 진행과정


Ⅱ. 본론
1. 기여 입학제에 대한 찬반 논리

2. 사립대학 재정의 현실
1) 사립대학의 기부금 유치
2) 사립대학의 등록금 비준

3. 외국 대학의 기여 입학제
1) 미국 대학의 기여 입학제
2) 유럽 대학의 기여 입학제
3) 일본 대학의 기여 입학제

4. 필요악적인 기여 입학제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

Ⅰ. 서론
대선을 앞두고 교육 정책변화에 관한 후보자들의 공약이 치열하다. 최근 노무현 정부가 주장했던 '3불정책' (고교등급제, 기여 입학제, 본고사 금지)에 반대하며 한나라당에선 기여 입학제를 추진하자는 주장을 내놓았다. 이를 계기로 사회에선 기여 입학제에 관한 찬반논의가 다시 한번 뜨겁게 진행되고 있다.
교육사회 레포트를 통하여 기여 입학제가 주는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을 알아보고 기여 입학제에 관한 정책이 어떻게 실행되어야 은 지에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기여 입학제란?
특정학교에 물질을 무상으로 기부하여 현저한 재정적 공로가 있는 경우나 대학의 설립 또는 발전에 비물질적으로 기여하는 등 공로가 있는 사람의 직계자손에 대해 대학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입학이 가능하도록 특례를 인정하는 제도이다. 쉽게 말하자면 기여 입학제란 돈을 주고 대학에 입학하는 것을 말한다.
2. 기여 입학제의 국내 진행과정
2001년 3월 연세대가 기여 입학제 도입 방침을 천명한 바 있고, 이후 여러 대학들이 기여 입학제 도입을 주장했다. 2005년 5월엔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을 포함해 150여 명에 이르는 대학 총장들이 정부에 제한적인 기여 입학제를 도입을 공식 건의했었다. 연세대학교가 기여 입학제에 관한 논란의 불씨를 당긴 것은 사실이지만, 이미 1986년 이후부터 사학발전정책의 하나로 기여 입학제가 거론되어 왔었다. 그러나 국민 위화감 조성이라는 이유로 지금까지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 이후 계속해서 여론과 교육계의 도마 위에 올라오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일보', '한경비즈니스', '세계일보', '한국대학신문'의 기사
'주샘논술' 블로그
'한국대표토론마당'의 글




키워드
입학제, 기여입학제, 기여, 보고서, 보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