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I. 아웃도어 시장의 매력도 분석 1. 외형적분석 2. 구조적분석 3. 환경적분석 II. 노스페이스의 마케팅 계획 수립 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2. 표적시장 선택(Targeting) 및 목표 도출 3. 적합성 분석 III. 마케팅믹스(Markeitng Mix : 4P) 1. 상품관리(Product) 2. 가격관리(Price) 3. 촉진관리(Promotion) 4. 유통관리(Place) IV. 결론 #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 I. 아웃도어 시장의 매력도 분석 1. 외형적 분석 1-1. 시장의 현황 2001년 우리나라 아웃도어 시장 규모는 5,000억 원 정도였지만, 2011년 현재 약 3조 2천억 원으로 매우 큰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 그림 I 1 >) 일반적으로 호황일 때의 산업 성장률 평균이 10% 내외인 것을 감안할 때, 아웃도어 시장의 연평균 25%의 성장률은 매우 큰 수치라고 할 수 있겠다. 무엇보다도 2008년 전세계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 불황에도 굴하지 않고 성장한 아웃도어 시장은 다른 시장에는 없는 특별한 무기가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그 무기를 우리나라 국민 생활수준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증가 두 가지로 꼽는다. 1980~1990년대의 우리나라는 낮은 소득 수준과 여가에 대한 부족한 인식으로 인해, 여가 자체에 시간 투자를 많이 하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현시대의 대한민국은 주5일 근무제로 증가한 여가 시간과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1만 5,000달러를 넘어서면서 생활수준이 증대되었고 따라서 아웃도어 활동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로 이어질 수 있었다. 나아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등산이나 트래킹 등의 건강을 위한 여가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점도 현재 상황에 큰 기여를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Official Materials 삼성경제연구소(SERI) 마케팅 전략 연구소 통계청 기획재정부 발표 자료 총리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 Book/Thesis 마케팅원리, 박찬수 <고기능성 아웃도어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가격관련태도 연구 : 아웃도어활동 참여동기와 소비자 지식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운, 2011년 양상규, '발 건강 예방 치유 요법', 성문출판사, 1999 3. Web/blog http://blog.naver.com/jimm77?Redirect=Log&logNo=130122761130 노스페이스 홈페이지 컬럼비아 스포츠웨어 홈페이지 K2 홈페이지 코오롱스포츠 홈페이지 트렉스타 홈페이지 NL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홈페이지 옥션 홈페이지(www.auction.co.kr), 가격비교 싸이트 다나와 홈페이지(www.danawa.com) 구글 이미지 4. Newspaper 머니투데이 2011.11.22 기사 : 비즈플레이스 2006.9.17 기사: 아시아투데이 2008.09.15 기사 : 주간조선 2170호(2011.8.22) 파이낸셜 뉴스 2011.10.25 아츠뉴스 칼럼, 2009. 10. 16 한국경제 2011.05.19 기사 주간지 Fashion channel 2011.9 데이터뉴스 키워드 아웃도어, 시장, 도어, 아웃, 분석 |
2017년 7월 28일 금요일
마케팅 노스페이스 The North Face Korea 마케팅 계획
마케팅 노스페이스 The North Face Korea 마케팅 계획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