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1일 토요일

국제경영 BOP시장 SPAO 진출 전략

국제경영 BOP시장 SPAO 진출 전략
[국제경영] BOP시장 SPAO 진출 전략.docx


목차
1. 국가선정 인도
2. 기업선정 SPAO
3. 시장선정 인도 전체
(인도의 시장 분석과 시장 선정이유)
4. 전략
1) 재고 판매 전략
2) 새로운 시장 진입
5. 전망 및 예측


본문
1.국가선정 인도

2.기업선정 SPAO

사람이 살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 것은 의(衣), 식(食), 주(宙) 이다. 어느 국가, 어떤 사람, 특정 조직이라도 이 세 가지가 충족되지 못하면 제대로 살기가 힘들다. 우리가 대상으로 선정한 인도의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들 국가에서는 전통의상을 제외하고는 실생활에서 입을 의복에 대한 제대로 된 물량을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이 드물고, 시장의 구매력 또한 적기 때문에 새로운 기업을 만들기도 부담스럽다. 우리 팀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이 시장에 기존에 존재하던 SPAO라는 의류 브랜드를 가지고 이 시장에 진입하려고 한다. SPAO는 한국의 의류 대기업인 이랜드의 자회사로 2009년에 설립된 국내 최초의 SPA 기업이다. SPAO는 초기 한국 시장진입 시에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아이돌 및 국민배우 등을 기용하여 비싼 모델료를 지불하면서 홍보도 많이 하였고, 명동 등에 대형 매장 건설, 고객 유치를 위한 많은 이벤트 등에도 불구하고 2005년에 미리 국내에 진입한 일본의 SPA 기업인 유니클로나 2008년에 국내에 진입한 스페인의 SPA기업인 ZARA등 여러 SPA기업에 밀려 예상하던 것만큼의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국내의 SPA시장이 거의 포화상태임을 보여주는데 타 브랜드에 비하여 질적인 면이나 디자인 측면에서도 특별한 강점이 없는 SPAO가 국내 시장보다는 빠르게 해외시장 공략을 해야 함을 느끼게 하였다. 하지만 원래 SPA 기업이 해외에서 먼저 생겨났으며 그 기업들은 선진국이나 구매력이 높은 국가들에 먼저 진출하였기 때문에, 해외의 구매력이 적당히 높은 국가들의 SPA 시장 상황은 한국보다 더 하면 더 할 것이지 덜하진 않을 것이다. 그래서 생각해 본 시장이 BOP마켓이다.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sjh415&logNo=120118584651
http://cafe.daum.net/chunjun28h/A2k3/114?docid=1KmhP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11211334516074
http://plusvirus.tistory.com/tag/Bop
http://ryanplee.blog.me/140113193828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nackne&logNo=110105628550


키워드
국제경영, BOP시장, SPAO, BOP, 시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