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론장 이론? 2. 한국, 과거의 시민참여? 3. 현재의 시민참여? 4. 의의와 한계 5. 질의응답 본문 "공론장" 사회의 공익사항에 대한 다측면적 정보를 전달 동시에 이 공익사항에 관해 발언을 통해 따지고 여론적 압력으로 정부의 정책 결정을 통제하는 쟁론적 논의의 장 현대사회에서 공론장은 비판적 토론의 장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이 공론장의 역할 상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언론의 상업화" 현상와 "공중의 구심점 해체"현상이라고 할 수 있네요. "과거의 시민 참여" 공론장 자체의 성립이 불가 공중으로서 참여 x 일반 민중으로서 권리 복권 참여 o 키워드 시민참여, 신문방송학, 방송학, 신문, 시민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