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 서론 1. 향약의 개념 2. 시대적, 역사적 배경 (16C후반) 3. 율곡 이이 인물 소개 Ⅱ. 본론 1. 율곡의 향약 1)특징 및 내용 2)종류 2. 율곡의 사회교육사상(향약과 연결되는 사회교육사상) 3. 증손여씨향약, 퇴계의 향약, 율곡의 향약 비교 Ⅲ. 결론 1. 본론 내용 요약 및 정리 2. 율곡 향약의 현대적 조명 본문 서론 향약(鄕約)은 조선시대 향촌 사회의 자치규약으로, 서원과 함께 향촌 사회에서 사림의 지위를 강화하는 데 기여 모체가 되는 것은 중국 송(宋)의 남전여씨문중(藍田呂氏門中)에서 그 향리를 교도하기 위하여 만든 《여씨향약(呂氏鄕約)》 여씨향약은 주자의 가감, 증보에 의하여 《주자증손여씨향약(朱子增損呂氏鄕約)》으로 더욱 완비 4대 강목 ① 덕업을 서로 권하는 것: 덕업상권(德業相勸) ② 과실을 서로 경계하는 것: 과실상규(過失相規) ③ 예속으로 서로 사귀는 것: 예속상교(禮俗相交) ④ 환난을 서로 구휼하는 것: 환난상휼(患亂相恤) 우리나라에 향약이 실제적으로 널리 시행된 것은 조선 왕조 중엽 이후 중종 때 조광조, 김식 등의 진언에 의하여 향약은 전국 각지에 반포되어 지방의 유학자들 사이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이후 이황(李滉) 이이(李珥) 등에 의해 우리의 실정에 맞는 향약이 마련 됨 조선시대 향촌사회의 자치규약으로서 시행주체 규모 지역 등에 따라 향규(鄕規) 일향약속(一鄕約束) 향립약조(鄕立約條) 향헌(鄕憲) 면약(面約) 동약(洞約) 동계(洞契) 동규(洞規) 촌약(村約) 촌계(村契) 이약(里約) 이사계(里社契)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림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경식. 1982. 율곡의 향약과 사회교육사상.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 4호 pp. 125-152 -김범중. 1991. 율곡이이의 향약에서 본 사회교육 사상. 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유성선. 2005. 율곡 향약에 나타난 사회사상 연구.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철학탐구 제18집 pp.5-28 -윤사순. 2002. 율곡향약의 사상적 성향. 율곡학회. 율곡사상연구 제5집. pp.23-56. -이근명. 2002. 朱熹의 <增損呂氏鄕約>과 朝鮮社會 : 朝鮮鄕約의 特性에 대한 檢討를 중심으로 . 한국중국학회. 국제중국학연구 제45집. -최문형. 2002. 栗谷鄕約의 現代的 照明 :共同體主義와 관련하여.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제30집. <참고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향토문화대전 (www.grandculture.net)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 id=3227) 키워드 한국사, 재해석, 율곡, 특징, 향약 |
2017년 5월 28일 일요일
한국사 율곡 향약의 특징 및 종류와 현대적 재해석
한국사 율곡 향약의 특징 및 종류와 현대적 재해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