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27일 토요일

다문화 가정의 가계경제 실태 분석

다문화 가정의 가계경제 실태 분석
다문화 가정의 가계경제 실태 분석.pptx


목차
서론 : 실태조사
- 다문화 가정 국적별 조사
- 다문화 가계
본론 : 경제생활의 실태와 문제파악
- 다문화 가정 인터뷰 ( 4명)
결론
- 사회적 필요 정책


본문
(1)실태조사
1) 다문화 가정 국적별 조사

실태조사
다문화 가정 국적별 조사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 출신국
<표 1 - 결혼이민자 출신국적현황> (출처: 보건복지부 - 2009년 전국 다문화 실태조사)
: 결혼이민자의 출신국은 중국 조선족이 가장 많고, 다음 한족, 베트남 순
→ 인터뷰 대상자 선정에 영향(중국조선족 어머니2명, 몽골어머니 1명, 베트남어머니 1명)

2. 출신국 별 체류기간
< 표 2 - 결혼이민자 국적별 체류기간> ( 출처: 보건복지부 - 2009년 전국 다문화 실태조사 )
- 중국(조선족)은 절반 이상의 체류기간이 5년 이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긺
→ 다른 국적의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에 비해 한국에 대한 적응, 언어, 경제적 능력 등 여러 생활 전반 능력이 높은 것으로 보여짐.
베트남, 필리핀, 중국(한족) 등은 체류기간이 2~5년 미만으로 한국에 정착한지 얼마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음.
→ 인터뷰에 어려움 발생. 언어와 생활전반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음.



키워드
가계경제, 다문화, 가계, 경제, 다문화 가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