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28일 일요일

중세의 우주론-천동설과 지동설, 케플러와 뉴턴, 동양의 우주론

중세의 우주론-천동설과 지동설, 케플러와 뉴턴, 동양의 우주론
중세의 우주론-천동설과 지동설, 케플러와 뉴턴, 동양의 우주론.pptx


목차
천동설과 지동설
케플러와 뉴턴
동양의 우주론


본문
천동설이란?
지구가 우주의 중심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움직이지 않으며, 지구의 둘레를 달과 태양, 다른 행성들이 각기 고유의 천구를 타고 공전한다.

발전과정

아리스토 텔레스
히파르코스
프로레마이오스


핵심이론
이심원설
행성과 태양이 하루 동안 이동하는 속도가 다름을 발견함에 따라 실제 지구가 태양과 행성들의 궤도에 정확한 중심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추가한 이론이다.

천동설을 굳건히 할 수 있는 요소가 되는 이론이다.



참고문헌
(천동설 part)
책 <42명의 천문학자가 들려주는 별 이야기> - 조상호 , 크리에디트 (2008)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171
http://satans.tistory.com/2
책 <인간 등정의 발자취> - 제이콥 브로노우스키 , 바다출판사
(지동설 part)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3861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193
http://blog.naver.com/mothra?Redirect=Log&logNo=50009732696
http://blog.naver.com/tjstnrfb?Redirect=Log&logNo=10115830905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7&docId=148687774&qb=7LyA7ZSM65+s7J2YIOuyley5mQ &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3Ox8U5Y7vossc/9fF0ssc 017491&sid=T3cJn8fIdk8AABo5RvA
http://birdsongs.blog.me/90138602213
http://100.naver.com/100.nhn?docid=151449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7&docId=63781667&qb=7KeA64+Z7ISk&enc=utf8§ion=kin&rank=7&search_sort=0&spq=0
http://blog.naver.com/earthstudy?Redirect=Log&logNo=50134844661
http://blog.daum.net/urbanbeatles/1146693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5933
(케플러 part)
이수대, 『우주와 인간』, 서울:북스힐, 2011 pp.29~31
천문우주지식정보 http://astro.kasi.re.kr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362
(뉴턴 part)
http://www.postech.ac.kr/press/pp/part01/ch010/sec010/
http://www.n2n.pe.kr/php/pds/pds3_files/034.htm?menu_n2=3&sub_k=3
http://mirror.enha.kr/wiki/%EC%95%84%EC%9D%B4%EC%9E%91%20%EB%89%B4%ED%84%B4
http://ko.wikipedia.org/wiki/%EB%89%B4%ED%84%B4%EC%9D%98_%EC%9A%B4%EB%8F%99_%EB%B2%95%EC%B9%99



키워드
우주론, 지동설, 케플러, 중세, 동양, 천동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