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26일 목요일

영화 `친절한 금자씨` 분석-박찬욱 감독의 작가주의를 중심으로

영화 `친절한 금자씨` 분석-박찬욱 감독의 작가주의를 중심으로
영화 `친절한 금자씨` 분석-박찬욱 감독의 작가주의를 중심으로.pptx


목차
1.작가주의 영화란?

2.작가론의 출발

3.오늘날의 작가론

4.한국의 작가 감독들

5.작가주의 영화와 상업영화

6.작가 '박찬욱'을 규정하는 것

7.'친절한 금자씨' 다시 보기 : 박찬욱의 작가적 맥락에서


본문
작가주의 영화란?

감독이 작가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개념을 적용한 이론을 말한다.
한 권의 책을 쓰는 것은 작가인 것처럼, 한 편의 영화에서 중심적인 인물은 감독이다.
즉, 작가주의의 관점에서 영화도 문학처럼 만든 이의 개성이 쉽게 드러나야 한다.

비 장르 영화, 작가 예술 영화
감독의 개성과 독창성이 중시되는 영화

작가주의 영화에서 작가(Auteur) 란 무엇인가?
원래 작가는 문학에서의 '글쓴이'를 말하는 것.
영화에서 영화의 저자성을 주장할 수 있을 만큼 감독의 개성이 뚜렷한 경우 작가주의 영화라 칭한다.

작가주의 영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독자적인 견해와 방식을 창출함으로써 관습을 변형하거나 장르를 생성한다.
둘째, 영화가 제기하는 문제들을 단순 명쾌하게 해결하지 못한다.
셋째, 감독은 스튜디오의 조건을 지배한다.


작가론의 출발

프랑수아 트뤼포
작가론을 주장한 1950년대 프랑스 비평가
1959년 칸 영화제에서 '4백 번의 구타'로 감독상 수상 : '누벨바그'의 효시적 작품
프랑스 영화의 어떤 경향 : 1954년 카이에 뒤 시네마에 실린 프랑수아 트뤼포의 article
당시 프랑스 영화계를 풍미하던 영화들을 영화적인 영화라기보다는
문학의 시녀에 불과한 영화로 봄 → 새로운 영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
'작가 정책을 제시'
프랑수아 트뤼포가 주장한 작가란?
자신의 일관된 영화적 주제를 탐구하고 고유한 스타일을 창조하는 감독을 주장함.

일관된 개성 소유의 유무에 따라
알프레도 히치콕, 존 포드, 니콜라스 레이, 사무엘 퓰러 등의 감독은 '작가'
영화적인 능력은 뛰어나지만 작가에게서 드러나는 일관된 개성이 결여된 감독들을 가리켜 '장인'


키워드
작가주의, 박찬욱, 금자, 분석, 작가, 감독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