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27일 금요일

한국 구비문학-풍수 설화와 복의 의미

한국 구비문학-풍수 설화와 복의 의미
한국 구비문학-풍수 설화와 복의 의미.pptx


목차
1.서론

풍수설
풍수설화
명당
지관
희생명당

2. 본론

수(壽)
부(富)
귀(貴)
다남(多男)

3. 결론

구비문학으로써 풍수설화
복의 개념 변화
현대에서 변용되어 나타나는 풍수사상
토론해 볼 거리



본문
(1) 풍수설이란?

음양론(陰陽論)과 오행설(五行說)을 기반으로 한 땅에 관한 이치

우리나라 삼국시대 말기에 득세하여 조선 말기까지 이해관계에 있어 크게 작용하다가 일제강점기를 거쳐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풍수설의 강인한 생명력: 지금도 조상의 무덤을 잘 쓰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각 지역에서 많은 풍수설화를 채록할 수 있음

(2) 풍수설화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지형에 어떤 인문적인 의미를 더하여 인간의 길흉 화복을 해석하려는 풍수지리설에 관한 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지형 설명이나, 풍수 곧 지사地師의 행위, 혹은 그 지형으로 인한 여러 모습의 결과-성공과 실패에 관한 이야기

(3) 명당, 지관, 희생명당에 대한 설명
명당설화의 형성과정

풍수설이 수용된 이래 명당을 얻는 것이 개인의 길흉화복을 좌우한다고 하는 것은
민간에 신앙처럼 깊이 뿌리 박혀 왔음


2) 이와 같은 믿음은 명당을 얻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으로 이어짐


3) 명당에 대한 관심과 함께 그것을 둘러싼 많은 이야기들이 형성

명당설화: 명당을 얻기 위한 노력이나 얻게 된 계기 등 명당을 얻은 과정을 중심으로 엮어진 이야기


지관설화 : 지관의 성공과 실패, 지관이 된 경위 등 지관을 중심으로 엮어진 설화

다른 말로 지사, 풍수사라고도 하는 지관은 지리/ 풍수술에 능통한 사람을 가리킴
(신월균,<풍수설화>)


키워드
한국, 구비문학, 의미, 구비, 문학, 설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