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27일 금요일

나도향 `젊은이의 시절` 작품 내용 분석

나도향 `젊은이의 시절` 작품 내용 분석
나도향 `젊은이의 시절` 작품 내용 분석.hwp


목차
< 목차 >
1. 선행연구
1) 작가 나도향
2) 1920년대와 『백조』
2. 나도향의「젊은이의 시절」
1) 줄거리
2) 작품의 형식적 특징
3) 작품 내용 분석 -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
① 예술에 대한 갈망과 이를 억압하는 현실
② 누이에 대한 순수한 사랑과 육체적 욕망
③ 내적 갈등의 최고조, 꿈
3. 마무리하며


본문
1. 선행연구
1) 작가 나도향
나도향(1902~1926)의 본명은 나경손으로, 그는 24년 4개월이란 생애로 요절하기까지 일제 강점기의 전반부를 경험했고, 마침내는 병고에 시달리면서 불운에 가득 찬 삶을 살았지만 한국 근대문학 초창기에 천재적 작가라는 찬사를 받는다. 나도향은 대대의 의업(醫業)을 잇는 가문에서 태어나 문학을 하는 과정에서 가부장적인 가정과 마찰을 빗기도 하는데 이는 그의 초기작품에 영향을 준다. 초기에는 작가의 처지와 비슷한 예술가 지망생들이 객관적이지 못한 나 로 형상화된 인물들로 등장하여 주관적 감정을 토로하는 것에만 그치는데, 이것은 그의 초기작품들이 습작으로 평가되기도 하는 이유가 된다. 그러나 이후, 빈곤의 문제 등 차츰 냉혹한 현실과 정면으로 대결하는 주인공들을 내세움으로써 초기의 낭만주의적 경향을 극복하고 사실주의로의 변모를 보여준다. 나도향의 대표작인 「뽕」,「벙어리 삼룡이」등은 후기에 쓰인 작품이고, 「젊은이의 시절」은 데뷔작으로서 초기의 작품이다.

2) 1920년대와 『백조』
「젊은이의 시절」이 발표된 1920년대는 3.1운동이후 무단정치가 어느 정도 완화되면서 근대적인 문학이 개화하는 시기였다. 당대 한국 문단에는 전통적 인습의 억압에서 벗어나 개인의 자유와 개성을 중요시 했던 서구 낭만주의의 핵심이 일제의 식민지 질서의 억압과 통제로부터 해방 또는 일탈이라는 의미로 변형되어 자리 잡게 되었으며, 그 결과 낭만주의가 1920년대 한국문학의 가장 큰 흐름이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창조』, 『폐허』, 『백조』등의 동인지(同人誌)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전 춘원을 중심으로 한 계몽주의 문학운동에 반해 동인지 문학은 본격적인 문학 자체에의 탐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순문학운동의 시작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백조』는 1922년 1월에 창간된 순문예지로, 그 편집은 홍사용이 맡았으며,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미국인들의 이름을 빌려 발행하였다. 박종화, 홍사용, 박영희, 이상화, 나도향, 현진건 등이 그 동인으로 참여하였으며, 홍사중과 김덕기가 자금을 출자하여 문화사에서 발행하였다. 『백조』지의 문학적 특색에는 화려한 수사와 애매한 비유, 암울한 성격의 제시 등이 있으며 흔히 낭만주의로 분류된다. 이들의 작품에서 부당한 밖의 세계와 적극적으로 대립시키며 힘차게 살아가는 인물이나 시상은 없으며, 밖의 세계로부터의 압력에 위축된 인물과 어두운 시상이 주조를 이룬다.



참고문헌
김재홍, 『한국대표 명작 총서5 나도향』, 벽호, 1993.
박헌호, 「나도향과 욕망의 문제」, 『1920년대 동인지 문학과 근대성 연구』(상허학회 편), 깊은샘, 2000.
박현수, 「1920년대 초기 문학의 재인식」, 같은 책.
신동욱, 「백조파의 낭만주의」,『문예사조』, 문학과 지성사, 1986.
신현숙, 「나도향 소설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윤병로, 「1920년대 전반의 한국 소설 양상」,『비교한국학』,국제비교한국학회, 1995.
이응백ㆍ김원경ㆍ김선풍,『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최명국, 「근대문학연구특집:「백조」동인들의 문학적 지향과 시사적 의의」,『문예시학』 제 24집, 문예시문학회, 2011.



키워드
내용, 분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