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고려 말 이전부터 조선 초기까지 1-1. 고려 말 이전 1-2. 여말선초 2. 조선 초기부터 임진왜란 전후까지 3. 조선 후기 국화의 상징 Ⅲ.결론 본문 Ⅰ.서론 국화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로 이루어진 사군자(四君子) 중의 하나로, 찬 계절에도 고고한 자태를 드러내며 피어나는 기품이 서린 꽃이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우리 선조들에게 국화는 절개의 상징으로 통용되었으며, 특히 겨울에는 찬 서리를 맞으며 홀로 피어 있는 까닭에 속세와는 구별된 은자의 풍도를 보여주는 꽃으로 각인되어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리 시조문학에서 나타난 국화의 심상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것이 시대적 흐름에 따라서는 어떻게 변화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은일자와 절개의 상징으로서의 국화와, 이후 계절의 흥취를 나타내는 모습으로 변모한 국화의 모습, 마지막으로는 삶의 풍류 그리고 인생의 끝자락에 선 인간의 모습을 대변하는 국화의 면모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Ⅱ.본론 1. 고려 말 이전부터 조선 초기까지 1.1. 고려 말 이전 고려 말 이전에 우리나라에서 국화는 영약의 의미로 쓰였다. 이는 고려시대 중국에서 국화를 들여오면서 국화가 가진 이미지 또한 그대로 들여온 것에 기인한다. 특히 황국(黃菊)은 신비한 영약으로, 옛 사람들은 이를 달여 마시면 장수한다고 믿어 왔으며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환갑 진갑 등의 헌화로도 사용하였다. 특히 중양절에 국화주를 마시면 무병장수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내용이 고려가요 <동동>의 9월령에 언급된 것으로 보아 무병장수의 의미를 지닌 국화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九月 九日애 아으 藥이라 먹논 黃花 (9월 9일 중양절에 약이라고 먹는 국화) 고지 안해 드니, 새셔 가만 얘라. (꽃이 집안으로 드니, 계절이 깊어가는구나.) 키워드 상징, 시조문학, 국화, 시조, 문학, 연구 |
2016년 5월 31일 화요일
시조문학속 국화의 상징 연구
시조문학속 국화의 상징 연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