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出塞(출새) 해제 주석 작가소개 격률분석 감상 終南別業(종남별업) 해제 주석 작가소개 격률분석 감상 鳥鳴澗(조명간) 해제 주석 작가소개 격률분석 감상 본문 해제 출새(出塞)는 당나라 시인들이 변방 생활을 다룬 시에 자주 붙였던 제목이다. 출(出)은 '나가다'라는 뜻이고 새(塞)는 '변방의 요새'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출새(出塞)는 '변방에 나가'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시가 성당 시기에 쓰였다는 점을 보아 당나라의 전성기였던 성당(盛唐) 시기에도 여전히 변방의 수비는 난항을 겪었음을 알 수 있다. 주석 1) 關(관): 진한 이래로 변경지대에 관문을 설치해 오랑캐의 침입을 막으려 하였다. 2) 但使(단사): 하기만 한다면, 오직 ~만 하면 된다. 3) 龍城(용성): 지명, 흉노(匈奴)족이 하늘에 제사 지내던 곳. 4) 飛將(비장): 용성에서 오랑캐를 무찌르며 공을 세운 한대의 이광(李廣)을 지칭한다. 5) 陰山(음산): 지명, 역사적으로 오랑캐의 침략을 자주 받았던 곳. 키워드 중국, 고전시, 조명간, 종남산별업, 별업, 분석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