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27일 금요일

이생규장전 작품 환상성 분석

이생규장전 작품 환상성 분석
이생규장전 작품 환상성 분석.ppt


목차
1.작품의 특징과 성격

2.전기 소설의 특징

3.줄거리

4.작품 안의 환상성 분석

5.담의 의미

6.시대적 배경

7.김시습, 그의 유교적 이념

8.결론



본문
1.작품의 특징과 성격

성격 : 전기적, 낭만적, 비극적 소설

주제 : 죽음을 초월한 남녀간의 애절한 사랑

특징 : 만남, 이별의 반복적 구조

등장인물

최랑- 진보적인 성격의 인물, 이생과의 사랑을 성취하기 위해 능동적인 사고와 적극적인 행동을 보임

이생- 시문에 능하고 수려한 외모를 지닌 선비, 최랑 보다 소극적인 모습을 보임


2.전기 소설의 특징
- 고대 전기 소설은 현실적인 인간생활을 떠나 천상, 명부, 용국 등에서 전개되는 기이한 사건을 다룬 소설을 의미
비현실적이나 작가의 의도적 표현으로 작가의 개성과 사상이 잘 투영되어 있다.

사건 전개에 있어서 그 변화의 폭이 넓다.

소재 자체는 비현실적이나 남녀간의 애정문제, 사회적 상황등 인생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그리고 있다.


3.줄거리

송도에 사는 이생은 어느 봄 날 서당에 갔다 오던 중 우연히 담 너머로 최씨 집안의 아름다운 처녀를 보게 된다. 두 사람은 사랑하는 사이가 되어 시를 주고 받았고, 이생은 밤마다 그 집 담을 넘어 밀애를 계속한다. 두 사람의 행실을 눈치 챈 이생의 부모는 크게 노해서 이생을 고향인 울주로 쫓아 버렸고, 최랑은 이생과 만나지 못해 상사병에 걸린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최랑의 부모는 이생 부모를 설득하여 이생과 최랑을 혼인 시킨다. 그 후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 이생은 간신히 도망하여 목숨을 보전 하였으나, 최랑은 정조를 지키다가 끝내 홍건적의 손에 죽임을 당한다. 난이 평정된 후 집으로 돌아온 이생은 황폐화된 집에서 가족의 생사를 알 수 없어 슬픔에 잠긴다. 그러던 중, 죽은 아내의 환신이 돌아오고, 이생은 그녀가 이미 죽은 환신 인줄 알면서도 3년 동안 행복한 삶을 산다. 3년이 지난 어느 날, 최랑은 자신의 유골을 거두어 장사 지내 줄 것을 부탁하며 이생에게 영원한 이별을 고한다. 이생은 아내의 유언에 따라 장사를 지내 주고, 이내 병들어 아내의 뒤를 따라 죽는다.



참고문헌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성의 미학연구: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안민정 2005

<이생규장전>의 밀회 장면에 나타난 환상성과 그 현실적 의미/ 박일용 2005

문학을 위한 변명/김욱동/문예/2002

< 이생규장전 > 의 갈등구조와 작가의식/ 이상구 1996

<이생규장전> 에서 문제된 성도덕관념/ 여세주 1997

애정류 전기소설 연구-<이생규장전>을 중심으로/ 채연식 2000


키워드
분석, 이생규장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