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30일 월요일

문학에서 영상물로의 변용-소설 벌레이야기와 영화 밀양 비교 분석

문학에서 영상물로의 변용-소설 벌레이야기와 영화 밀양 비교 분석
문학에서 영상물로의 변용-소설 벌레이야기와 영화 밀양 비교 분석.pptx


목차
1.문학 → 영상물 의의와 한계

2.제목

3.인물

4.사건

5.상징

6.주제의식


본문
1 문학 → 영상물의 의의

독자들의 시각적 체험을 통한 대리만족
감독 자신의 주제의식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표현
감독이 원작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의미와 주제의식을 가진 작품을 창작할 수 있음


2 제목(Title)
2-1 소설 '벌레이야기'

"밀양은 어떤 곳이에요? 사람 사는 곳이 다 똑같죠."

→ 지역적 특수성보다는 '밀양'이라는 이름 자체의 뜻에 주목
→ 密 = 빽빽할 밀, 陽 = 별양 : 비밀의 햇볕
.
.
.
5-1 배경: 소설&영화

소설
구체적인 시공간적 배경의 부재
짧은 길이로 인해 생략된 구체적 서사


영화
밀양이라는 구체적 공간적 배경
시각적 노출 : 시간의 흐름


영화
밀양 '비밀의 햇볕'
영화의 수미에서 햇볕을 노출
하느님의 존재 혹은 사랑
김 집사, 납치범은 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제공
그렇지만, 하느님에 대한 부정 X
햇볕: 신애 곁의 하느님
하늘
신애의 '보고 있느냐'는 물음의 대상
하느님에 대한 상징


키워드
밀양, 비교, 변용, 분석, 벌레이야기, 영상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