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Sullivan 소개와 생애 Ⅱ. 성격의 정의, 자아체계, 주요 양상 Ⅲ. 결론 본문 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Ⅰ. Sullivan 소개와 생애 Harry Stack Sullivan(1892-1949) 미국의 정신의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이다. 프로이트 이론에 사회학적 관점을 도입하여 유아의 퍼스낼리티personality 형성에 있어서 어머니 등과의 대인관계를 중시하여 대인관계의학으로서의 신프로이트학파를 발전시켰다. 『현대정신의학의 제개념』(1947) 등의 저서가 있다. Harry Stack Sullivan은 청년기의 우정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가이다. 그는 1892년 뉴욕의 노르위치에서 태어나 뉴욕 북부 변두리 체낭고 카운티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시카고학파라 불리던 실용 주의자들이 미국의 지식계와 사회과학계를 지배하던 무렵 시카고에서 의과대학 학위를 수여하고 일차 세계대전 중 군복무를 마치고 워싱턴 DC에 있는 성 엘리자베스 병원에서 William White박 밑에 근무하였다. 당시 그는 미국 정신의학계의 거물이면서 정신 분열증 환자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던 장본인이었다. Sullivan은 이후 볼티모어와 애녹의 병원에서 정신분열 환자를 위한 특별병동을 운영하며 정신질환을 사회적 요인에 기인한다는 이른바 사회적 정신의학이론, 대인관계이론이 탄생하였다. 당시의 정신의학계는 정신분열증을 신체적 원인에서 발생한 신경생리학적 질환으로 보고 정신분열증은 시간이 갈수록 악화되어 결국 정신자체가 완전히 황폐화되는 질병이었다. 그러나 Sullivan은 이런 이론들이 그의 정신분열 환자에 대한 경험과 부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오히려 그들은 대인관계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었으며 고통스러울 정도로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임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대인관계이론을 형성하게 되었다. 키워드 대인관계이론, 관계, 이론 |
2016년 5월 27일 금요일
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
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