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 오늘날 언어적 레퍼토리의 다양화 1. 영어공용화란? 영어공용화의 개념 도입 국가 2. 영어공용화 논쟁 (찬성 vs 반대) 3.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 도입 국가 성공적 사례 싱가포르 20개 이상의 언어가 혼용되고 있는 다언어 사회 영어 공식어 150년 이상 강력한 영어 장려 정책 현재 영어 사용자 23% 정도 비성공적 사례 필리핀 타갈로그어, 영어 공용어로 사용된 지 100년 7% 정도의 상위 계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민중은 영어 능력이 부족해 국가의 정치와 경제에서 소외 "국제화 시대 영어의 중요성, 이로 인한 한국인들의 영어에 대한 압박" . . 영어공용화 대신 영어공교육을 내실있게 강화 →핀란드 사례 벤치마킹 필요 핀란드의 영어 사용 전국민의 77%가 영어 구사 가능 핀란드어는 한국어와 같은 우랄알타이어족 언어. 다른 유럽의 언어들과는 달리 어순이 영어와 다르고 전치사와 관사가 없음. 키워드 찬반, 영어공용화, 공용화, 논쟁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