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30일 월요일

고려와 조선의 고려가요 수용양상 차이-`쌍화점`을 중심으로

고려와 조선의 고려가요 수용양상 차이-`쌍화점`을 중심으로
고려와 조선의 고려가요 수용양상 차이-`쌍화점`을 중심으로.ppt


목차
1.서론
고려가요란?
고려가요와 남녀상열지사
고려 VS 조선

2.본론
고려가요가 궁중에 수용된 배경
<쌍화점>의 해석과 궁중으로의 수용
조선시대 고려가요의 수용양상

3.결론 및 참고문헌

4.토론하기


본문
1.1 고려가요란?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우리말 노래"

정의: 고려시대의 시가/장가의 한 형식
전래: 구전 →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
특징: 아름다운 운율, 소박한 표현,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

1.2 고려가요와 남녀상열지사

"남녀상열지사"란?
조선의 유학자들이 고려가요의 작품들을 비방하던 뜻의 명칭
(Ex. <쌍화점>, <만전춘>, <가시리>, <서경별곡> 등)

But

Q. 남녀상열지사는 단순한 '음란 텍스트'일까?
한 작품이 시대의 이념에 따라
규제, 혹은 개작되는 것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2.1 고려가요가 궁중에 수용된 배경1) 음악에 대한 상층계급의 인식
음악은 정치와도
연관이 있는 것
신하와 백성에 이르기까지
널리 통하는 음악 필요
새로운 작품 창작
or 기존 작품 변형
하층계급의 음악을
상층에 맞게 변형
진솔하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 노래들을 궁중으로 받아들임
주술/송도/교훈/
향락적인 노래


키워드
수용양상, 조선의, 조선, 고려, 차이, 중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