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박인로의 생애 2. 유교사상 3. 성경(誠敬) - 오륜가를 중심으로 4. 충(忠) - 선상탄을 중심으로 5. 효(孝) - 조홍시가를 중심으로 본문 박인로 1561∼1642(명종 16 ~ 인조 20) 전반생은 임진왜란에 종군한 무인으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진 반면, 후반생은 독서와 수행으로 초연한 선비이자, 문인 가객으로서의 면모가 지배적 문인으로서 본격적으로 활약한 것은 은거생활에 든 40세 이후로, 성현의 경전 주석 연구에 몰두 유교사상 : 수기치인의 학문. 자기 자신의 수양에 힘쓰고 천하를 이상적으로 다스리는 것을 목표로 삼는 학문이며 그것 을 향한 실천. 유교에서는 수기, 치인, 인, 의, 예, 성, 경, 충, 효, 구경 등을 중요시 여기며, 이는 보편적으로 인간이 지키고 추구해야 할 가치로 유교가 정해놓은 규범에 해당함. 박인로의 성경충효 (誠敬忠孝) 성 경 충 효의 네 글자는 박인로가 꿈에서 얻은 글자. 박인로는 성 경 충 효의 네 글자를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아 자성을 게을리 하지 않았음. 이 때문에, 박인로의 작품들 속에도 성경충효 사상이 드러남. 성경 (논문에 실린 "성경 정의론") 3. 성경(誠敬) 誠(성) : "所以行之 一"로 그 의미를 정의. 여기서 之의 정체는 九經. 敬(경) : "一心主幸"의 의미로 정의 키워드 성경충효, 조홍시가, 박인로, 오륜가, 성경, 조홍 |
2016년 5월 31일 화요일
박인로의 성경충효-오륜가, 선상탄, 조홍시가를 중심으로
박인로의 성경충효-오륜가, 선상탄, 조홍시가를 중심으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