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말소리의 분류 음성학 2.본론 2-1.조음위치 국어자음체계 영어자음체계 2-2.조음방법 국어자음체계 영어자음체계 2-3.국어&영어자음체계 비교 조음 위치&방식에 따른 비교 한국어에 없는 영어자음 동일하거나 비슷한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3.결론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 차이의 요인 4.질문 본문 음절(Syllable) 모음 수에 기초한 언어학적 단위 음소(phoneme) 낱말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소리 단위 자음 : 공기가 목안이나 입안에서 장애를 받으며 나는 소리 모음 : 공기나 목안이나 입안에서 별다른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자음이란 '닿소리' 라고도 하며, 음소로서의 자음과 구별하여 '자성(contoid) 이라고도 한다. 허파에서 올라오는 공기가 구강안의 어느 부분또는 성문을 마찰하거나 폐쇄하여 조음되는 음이다. 조음 음성학 발음기관을 이용하여 말 소리를 발음하고 청취하 는 과정과 방법을 음성학 으로 나타낸것 음향 음성학 음파를 분석 하는것 청취 음성학 말소리의 청취& 인식을 연구 조음기관 말소리 산출에 관련된 여러 구조로서, 혀,입술, 턱, 연구개(여린입천장) 등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구조와 치아나 경구개(굳은입천장)와 같이 움직일 수 없는 구조이다. 참고문헌 출처 http://blog.naver.com/key6361/130103022706 http://blog.naver.com/artemis4718/120178629023 http://blog.naver.com/uno463/90151545341 EBS 수능특강 국어A P.74~75 출처 http://mayflower.do.am/index/classification_of_vowels_and_consonants/0-39 출처 http://goodspeaking.blog.me/70160668933 출처 http://goodspeaking.blog.me/70165845619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84095&cid=2899&categoryId=2899 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 http://blog.naver.com/han1246?Redirect=Log&logNo=140187312101 언어<이론과 그응용> 저자: 김진우 『한국어음운론』(정연찬, 개문사, 1980) 『국어음운론』(이기문 김진우 이상억, 학연사, 1984) 『국어음운학』(허웅, 샘문화사, 1985) 「음운-경상남도-」(김영송, 『경상남도지』 중, 1963) 「음운론 및 음성학」(김완진, 『국어학개론』, 수도출판사, 1965) 네이버 지식백과 자음 子音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웹정보 영어와 한국어 http://naver.postview.nhn?blogId=mypark76&logno 출처: 저자명 : 安成道 학술지명 : 論文集(The Journ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권호사항 : Vol.27 No.- 1994 발행처 : 서울敎育大學(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383-413(31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1994년 키워드 비교, 자음체계, 설명, 체계, 한국어 |
2016년 5월 30일 월요일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체계 및 비교 설명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체계 및 비교 설명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