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훈민정음 2. 사상적 배경 2. 한글 제자 1. 자음 제자의 원리 2. 모음 제자의 원리 3. 이체자 4. 맺음말 본문 훈민정음은 3부분으로 구성 1. 예의(豫議)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을 밝힘 2. 해례(解例) 창제의 과정과 원리 및 실제적인 운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 , 제자 기준, 초성인 자음체계, 중성인 모음체계, 음상 등에 대해 설명 3. 정인지서(鄭麟趾序) 끝으로 이 문자의 우수성과 창제자의 우수성을 서술 "천지자연의 원리는 오로지 음양오행뿐이다. 곤(坤)과 복(復)의 사이가 태극(太極)이 되고, 이 태극이 움직이고 멎고 한 다음에 음(陰)과 양(陽)이 생겨나는 것이다. 무릇 하늘과 땅 사이에 목숨 갖고 존재하는 것들이 음양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그러므로 사람의 소리도 다 음양의 이치가 있는 것인데 사람이 살피지 못할 뿐이다." 음양오행사상 - 음양사상 우주 만물의 모든 현상을 음과 양으로 설명하려는 것으로,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음적인 면과 양적인 면을 함께 지니고 있으며 음의 한가운데에 양이 있고 양의 한 가운데에 음이 있어 서로끊임없이 영향을 준다. <태극과 음양오행 관계도> - 오행사상 이미 생성된 우주만물의 성장과 소멸, 변화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가지 운행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는 사상 . . 조음위치와 조음방법 조음위치: 말소리를 산출할 때 공기의 압축이 발생하는 장소 Articulation place 입술소리, 목구멍소리, etc. 조음방법: 자음을 발음할 때 소리를 만드는 방법 Consonant 마찰음, 파열음, etc. 참고문헌 1. 김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글의 창제 원리를 바탕으로 한 유아교육용 한글 낱자 그림책 개발, 2009 2. 김주원, 인문 역사, 훈민정음 해례본의 인류문화사적 가치(1), 제53권 제7호, 2005 3.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 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2008 4. 박병천, 동양예술+, 한글 글꼴의 생성-변천과 현대적 고찰, 2004 5. 안상수 한재준, 안그라픽스, 한글디자인, 1999, 28면 6. 이영월, 등운이론과 훈민정음 28자모의 음운성격: 창제동기와 목적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어문논역학회, 제 27호, 2010 키워드 제자원리, 원리, 한글 |
2016년 5월 31일 화요일
한글의 제자원리
한글의 제자원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