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면서 2.인간 언어의 본질 3.언어교육의 이상과 실제 (1)언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2)우리 나라 언어교육의 실제 4.나오면서 본문 1. 들어가면서 사람과 동물을 구별하는 유일한 척도는 언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리학적으로 사회학적으로 또 다른 면에서도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가장 큰 차이는 인간만이 언어를 소유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우리는 언어가 인간과 함께 있어왔고,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오히려 그 존재 가치를 의식하지 못하고 당연히 주어진 것처럼 여기고 있다. 즉, 언어의 본질에 대해 제대로 된 인지를 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러면 언어란 과연 무엇인가? 이 질문은 간단히 정의할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 오늘날은 언어를 '말소리를 매개체로 한 의사소통의 체계'로 간단히 정의해 버리고 있고,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언어 교육을 보더라도 언어를 의사매체의 한 수단으로서 음운이라든지, 형태, 통사 등과 같은 언어의 형태에 관심이 쏠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언어가 단순히 의사소통의 수단이라면 동물세계에도 비록 원시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자기들만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암호, 기호(음성이나 몸짓으로 된)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만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즉, 인간의 언어에는 의사소통의 기능이외에 무엇인가가 언어 속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것을 밝히는 것이 바로 언어의 본질을 밝히는 일이 될 것이다. 지금부터 언어의 본질이 무엇이며, 오늘날 언어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나아가서 참고문헌 정영근, 「W. v. 홈볼트의 언어철학을 통해 본 인간도야의 의미」, 『인문과학연구 제5호』, 상명대학교, 1996 정영근, 「교육개혁에서의 언어교육의 문제」, 『교육철학 14-1호』,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1996, 모리오카 케지, 후지나가 다모쓰 공저, 곽영철 옮김,『언어와 인간』, 한양대학교 출판사, 1994 Peter Fard, 이기동 외 옮김, 『말의 모습과 쓰임』, 한국문화사,1997 노명완, 손영애,이인제, 「국어과 사고력신장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서울:한국교육개발원, 1980 민선재,「조기 외국어교육 언제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論文集』, 한 국외국어대학교,1997 하고 싶은 말 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이해 E형 인간 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키워드 언어의이해, 인간언어의본질, 언어, 인간언어, 방송통신대 |
2016년 5월 1일 일요일
(방통대 2015-2) 인간 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방통대 2015-2) 인간 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