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부유한 도시의 섬 같은 빈곤 2. 빈곤 속에서 찾는 희망 3. 서부대계발로 인한 도시의 발전과 여전히 대비되는 하층민의 삶 4. 빈부격차의 내면에 대해서 5. 중국부자의 과소비 6. 빈곤과 인권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부유한 도시의 섬 같은 빈곤 중국의 경제수도인 상하이에 있는 난징루는 요즘 날 최대 관광지로 손꼽힌다. 이 곳은 큰 변화를 겪은 곳이다. 예전보다 많이 화려해졌고 깨끗해진 것이다. 단지 변화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사람이 여전히 많다는 것뿐이다. 상하이에는 화려한 고층빌딩들이 많이 세워졌고 관광을 위한 장소들도 많이 생겼다. 이 뿐만 아니라 상하이에서는 시민들을 위한 야외공연이나 음악회 등을 종종 개최한다. 이렇듯, 상하이의 변화는 눈에 보이는 화려함을 넘어섰다. 또한, 사람들은 비싼 돈을 주고 표를 사서 공연을 관람하고 거기에 어울리는 비싼 음식을 사 먹는다. 사람들의 문화생활 수준 또한 향상 된 것이다. 번화가에서 조금만 옆으로 가보면 기차역이 하나 있다. 그 곳에서는 돈을 벌기 위해 농촌에서 도시로 무작정 상경한 민공들로 붐빈다. 그들은 시내 건설공장에서 일하면서 하루에 50위안(한화6,500원)을 위해 일한다. 하지만 그들은 농촌보다 도시에서의 일자리가 더 많고, 수입 또한 고향농사에 비해 훨씬 많기 때문에 가족을 두고 도시로 올라온다. 농촌에서는 연간 한화25만 원 정도를 번다고 한다. 하지만 비가 많이 오게 되면 그 조차도 벌기 힘들어 결국 도시로 올라오게 된다고 한다. 그들은 이렇게 한 번 올라오면 몇 년 동안 고향에 내려가지 못한다. 하지만 그들은 농촌에서보다 더 많은 돈을 번다는 데에서 희망을 찾으며 살아간다. 상하이 안에는 고급빌라촌이 있다. 그곳은 외부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고, 지하로3층, 지상으로2층의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의 가격은 4억 원대에 달한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20년 전까지만 해도 그런 호화로운 삶은 꿈꿔보지도 못했다. 하지만 개혁개방으로 인해 빠른 성공과 부유한 삶을 얻고, 한 순간에 인생역전을 하게 된 것이다. 반대로 한 민공의 집을 찾아가 보면 가파른 계단을 올라 판자 하나로 2층으로 나뉜 방에서 민공5명이 함께 생활한다. 참고문헌 가난의 대물림을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이훈구 저, 법문사 빈곤의 순환고리들, 박경숙, 김남줄, 김수영, 김진수, 나금실, 박병철, 손태홍, 이상문, 최희경 저, 동아대학교 출판부 비디오녹화자료 역동의 아시아, 황금대륙을 가다: KBS 아시아 大기획 제1편: 장강의 역류 - 중국, KBS미디어, 2006 하고 싶은 말 중국의 빈부격차 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중국의 빈부격차, 중국 부유층, 중국 하층민, 빈부격차의 내면, 빈곤과 인권 |
2016년 9월 1일 목요일
중국의 빈부격차
중국의 빈부격차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