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콘이란? 2. 이콘을 바라보는 시각 3. 초기 기독교의 '이미지' 금지 4. 이콘 파괴주의 (Iconoclasm) 5. 제 1차 이콘논쟁(726~787) 6. 히에리아 종교회의와 니케아 공의회 7. 제 2차 이콘논쟁 8. 이콘의 신학적 요소 -이콘숭배주의적 관점 9. 성상 이해를 위한 열쇠 -정교주일의 시기송 10. 이콘의 신학적 요소 -이콘파괴주의적 관점 11. 이콘의 러시아 유입 12. 노브고로드 이콘 화파 13. 러시아의 그리스도 이콘 14. 러시아의 성모 이콘 15. 역원근법 본문 이콘이란? 동방 정교회에서 그리스도, 성모, 성인 등의 성화상 이콘의 명칭은 그리스어에서 유래, <초상>, <유사한 모습>, <마음에 그리는 상> 등이 원래 의미이다. (중략) 이콘의 신학적 요소 -이콘파괴주의적 관점 그리스도를 묘사한 그림이 그리스도와 동일할 수 있는가? 이콘은 그리스도의 인성만을 표현하고 있고,신성은 묘사와 재현이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리스도의 신성만을 인정하며, 신성은 가시적인 형태로 묘사될 수 없다고 주장 궁극적으로 신의 '육화'와 '삼위일체'를 부인 이미지는 허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종교미술이 숭배되는 데 주목 키워드 이콘, 그리스도, 러시아, 주의, 이미지, 논쟁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