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체 ? 운동적 발달 <2> 지적발달(인지발달) <3> 언 어 발 달 <4> 유아기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 <5> 유아기의 발달이상 본문 <1> 신체 ? 운동적 발달 ① 신경계의 근육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종합적인 반응임과 동시에 활동들임 ② 반사적 행동에서 시작하여 피동적이고 융합적인 행동으로 분화 협응되어 감 ③ 부모들이 제공하는 장난감에 의해 촉진될 수 있음 ④ 바람직한 운동발달을 위해 유아는 학습할 수 있을 정도로 성숙되어 있어야 함 1. 전체운동 ① 3세가 되면 세련되고 지속적이며 효과적인 걸음으로 변화 ② 기저귀의 제거는 걸음마의 진보에 중요한 역할을 함 ③ 달리고 뛰는 것이 가능해짐. 달리는 능력은 걸음마기를 통해 줄곧 개선됨 ④ 걸음마기 후기에 이르면 달리는 기술이 다른 게임을 위한 필수적 요소임을 인식 2. 부분운동 ① 2세경 : 숟가락을 사용하여 밥을 먹고 컵으로 물을 마실 수 있음 ② 옷을 입는 기술보다는 벗는 기술이 먼저 발달됨 3세경 : 스스로 옷을 입기 시작하며 단추를 벗길 수 있음 4-5세경 : 혼자서 옷을 입을 수 있음 6-7세 : 단추나 지퍼를 채우고 구두끈을 묶을 수 있음 ③ 연필이나 크레파스를 사용하는 능력은 중요한 세부적 운동기술 ⓐ 1단계(영아기 후반-2세) : 뚜렷한 형태가 없는 제멋대로의 점이나 선을 긁적거림. ⓑ 2단계(3세) : 원이나 삼각형 혹은 사각형의 단순한 형태를 그리기 시작 ⓒ 3단계(4세) : 원 속에 직선을 그리거나 사각형 속에 원이나 삼각형을 그려 넣음 ⓓ 4단계(5-7세) : 실제 사물을 표상하려 노력. 자세하고 세부적인 표현이 가능 ⓔ 9-10세 : 3차원의 입방체를 그림 3. 대소변 통제 : 신체구조나 근육의 성숙과 분화와 밀접하게 관련됨 ① 2세경: 대소변 의사를 정확하기 표현하기 시작 ② 유아의 괄약근의 성숙정도와 성별, 부모의 태도에 따른 개인차-여아가 더 빨리 가림 ③ 1세 전후: 유아의 생리적 주기를 고려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키거나 원할 때 변기를 대줌 ④ 5세가 지나도록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유아는 근육발달이 늦거나 정서적 문제가 있다고 봄 하고 싶은 말 최선을 다해서 작성하였습니다. 키워드 유아기발달, 신체발달, 유아기지적인지발달, 유아기언어발달, 유아기발달이상 |
2016년 9월 30일 금요일
유아기발달(신체발달, 유아기지적인지발달, 유아기언어발달, 사회성발달, 유아기발달이상)
유아기발달(신체발달, 유아기지적인지발달, 유아기언어발달, 사회성발달, 유아기발달이상)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