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 함께 해봅시다> <학습목표> 1. 인간의 언어 행위 2. 발화 3. 이야기 4. 정중한 어법 갖추기 <모도리의 뒤풀이> 본문 <다 함께 해봅시다> 1. "난 아르바이트를 마치고 집에 걸어오는데 벚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그러나 기분이 엄청 좋았다." 라는 두 문장은 통일성 있는 이야기라고 보기 어려워요. 왜일까요? 2. 이런 일이 있었어요. "사오정이 버스운전 기사가 되었다. 어느날, 사오정이 운전하고 있는 버스에 한 고등학생이 올라탔다. 버스 요금을 내면서 그 고등학생이 사오정에게 물었다. 학생: 아저씨, 한국대는 어떻게 가요? 사오정: 응, 국영수 위주로 열심히 하면 돼."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된 이유는 뭘까요? <학습목표> 1. 이야기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이해한다. 2. 다양한 이야기 자료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표현 원리와 효과를 익힌다. 3. 이야기를 창조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1. 인간의 언어 행위 의사소통 행위가 이루어지려면 그것을 위한 도구인 ( ), 행위자인 ( )와 ( ), 그것이 이루어지는 ( )이 있어야 한다. 좀 더 큰 의미로 해석을 하자면 언어 행위를 수행하는 행위자 자신들도 상황의 일부에 해당하지만 언어 행위가 있는 곳에는 반드시 일정한 상황이 있기 마련이다. 이처럼, 인간의 언어 행위에는 반드시 일정한 상황이 미리 주어져 있기 때문에 그것이 상황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그것은 부적절하고 비능률적인 언어 행위가 된다. 2. 발화 ( ) : 입 밖으로 나오지 않은 추상적인 말 ↓ ( ) : 한 덩어리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단위로서 ( )을 실제로 문장 단위로 실현한 것 1) 발화의 기능 : 발화는 단순한 정보 전달 이외에도 일상생활에서 약속, 명령, 요청, 질문, 제안, 협박, 비난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한다. 키워드 이야기, 언어, 발화, 정보, 문장, 사오정 |
2016년 9월 27일 화요일
국어교육-이야기교육론
국어교육-이야기교육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