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8일 수요일

교사와 학부모의 교육파트너십 인식 연구

교사와 학부모의 교육파트너십 인식 연구
교사와 학부모의 교육파트너십 인식 연구.hwp


목차
1. 서론

2. 본론
1) 교육파트너십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 비교
2) 교육파트너십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3) 교육파트너십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 비교

3. 결론

참고문헌


본문
1. 서론
학교가 무너지고 있다. 교권 추락, 사교육의 팽창, 학부모의 학교교육 불신, 학교 붕괴 등 공교육의 위기를 진단하는 다양한 표현들은 더 이상 우리에게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다. 공교육의 위기에 대한 사실 여부가 다소 과장된 면이 있다하더라도, 사회의 학교에 대한 불신이 깊어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학교의 교육현장을 개선하기 위해 '학교 공동체' 회복을 중요한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교육 전문가인 교사와 함께 새로운 교육체계 속에서 교육 주체로 인식되어지고 있는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최근 OECD에서도 교육 파트너로서의 학부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방안들이 다양하게 연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교육 파트너십이란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 협력 관계로서 보다 나은 교육 현장을 위해 학교 공동체 구축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대두되고 있는 개념이다. 과거의 교육활동은 일반적으로 자녀의 교육을 학교에 맡기고 학부모들은 부차적인 위치에서 절대적인 객체에 머물러 왔다. 그러나 현재는 학부모가 교육전문가인 교사와 함께 교육의 핵심 주체로 인식된다. 교사-학부모의 파트너십 형성의 중요성은 학교교육 위기를 다루는 어느 담론에서도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많은 선행연구들에 의해 학부모들의 학교교육 참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교사-학부모 파트너십의 필요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협력의 정도는 이와 같은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최근 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주요 기사들이 학부모와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은 이러한 사실을 단편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 인식과 이해가 형성하는 범위를 확정하는 것은 교사-학부모 파트너십에서 매우 중요하다. 교사와 학부모의 파트너십은 양자 간 상호존중과 이해 및 협력에 관한 동의가 존재해야 하며,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상호작용을 통해 파트너시의 수준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파트너십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이 교육 파트너십의 질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전제하고, 서로의 역할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하려고 한다. 이러한 인식비교를 위한 세 가지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부모 교육파트너십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 비교, 둘째, 교사-학부모 교육파트너십에서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비교, 셋째, 교사-학부모 교육파트너십을 방해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비교이다. 이를 바탕으로 왜 이러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는지 사회학적 배경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교육파트너십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며 마무리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성빈 (2009). 학습자, 학부모 및 교사가 기대하는 교사상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417-437
김영경 (2010). 교육파트너십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경혜(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한국교육학회.
42(4). 285-315
윤정일 (2009). 교사 전문성에 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79-100


키워드
교육, 교사, 학부모, 인식, 파트너, 학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