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9일 목요일

부모교육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목표와 원리의 이해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드라이커스의 민주주의 부모교육 이론,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목표와 기본원리, 아동의 잘못된 행동목표)

부모교육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목표와 원리의 이해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드라이커스의 민주주의 부모교육 이론,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목표와 기본원리, 아동의 잘못된 행동목표)
[부모교육]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목표와 원리의 이해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드라이커스의 민주주의 부모교육 이론,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목표와 기본원리, 아동의 잘못된 행동목표).hwp


목차
1.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이해

2.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3. 드라이커스의 민주주의 부모교육 이론

4.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목표

5.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기본원리

6. 아동의 잘못된 행동목표 4가지

7. 아동의 잘못된 행동의 목적

8. 아동의 긍정적 행동목표

9. 아동의 잘못된 행동목표 변경 전략

참고문헌


본문
※ 부모교육 이론

부모교육의 이론에는 많은 사회심리학적 이론이 기저를 이루고 있으며, 고대 부모교육은 부모가 되고 자녀양육은 인류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고유 기능이며, 현대의 부모교육은 최근에 과학적으로 구체화된 개념으로 1960년대 이후 근대 심리학의 발전에 기인한 다양한 이론이 부모내용의 근간이 되었다.

1.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이해

민주주의 부모교육의 이론은 Adler의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에 기초를 둔다. Adler의 이론은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로 소속감을 형성하고자 하며, 성장과정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생활양식을 형성한다. 생활양식은 성격의 통합체로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초가 되므로 한 개인의 부적응 행동은 열등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생활양식의 기초가 되는 사적인 논리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주주의 부모교육 이론은 이러한 아들러의 관점을 부모 자녀 관계에 적용시킨 것이다.

자녀는 자기 스스로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에 대한 통제능력과 완전성을 추구하려는 타고난 동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모는 이러한 자녀의 능력을 신뢰하고 자녀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에 대한 통찰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자녀가 열등감을 극복하는 과정이나 사적인 논리에서 문제를 보일 경우 이에 대한 이해와 아울러 적절한 반응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수희, 최윤정 저, 부모교육, 공동체 2014
고정곤, 김소영 외 저, 부모교육, 양서원 2014
홍연애, 김지영 외 저 부모교육, 파워북 2014
안영진 저, 부모교육, 나눔 2014


하고 싶은 말
정성것 작성하여 만들어서 A학점 받은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아요.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키워드
부모교육, 부모, 교육, 아들러, 이론, 목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