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9일 목요일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보완 방안 연구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보완 방안 연구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보완 방안 연구.hwp


목차
Ⅰ. 도입
1.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근본적 취지
2.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추진배경
3. 구체적인 실시 방향
4. 문제점과 방향

Ⅱ. 선행 연구
1.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
2. 다원적 교원평가체제에 대해 제시된 방안

Ⅲ.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보완 방안 탐색
1. 교원능력개발평가와 인사의 분리
2.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제도적 보완
3.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지표

Ⅳ.결론


본문
Ⅰ. 도입

1.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근본적 취지

교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 평가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시도 중 하나이다. 교육부는 교원능력개발평가를 '교원의 교육활동 전반에 대한 전문성을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른 능력개발을 지원할 목적으로 실시한다.(2012학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개요)'라고 그 실시목적을 말한다. 공정하고 타당한 평가 실시를 통해서 교원스스로 자신의 교육활동 전반을 검토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기존의 근무성적평가제에서는 실질적으로 다루지 못했던 교사의 능력개발, 전문성 신장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평가의 취지는 결과를 활용해 연수와 자기개발을 통해서 지속적인 능력개발을 유도하는 것이다.

2.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추진배경

교원능력평가제의 추진배경은 인사관리에만 치중한 근무성적평가제도의 문제로부터 시작했다. 근무성적 평가제도는 전문성 신장 유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학계로부터 계속 받아왔다. 교원을 육성하기위한 정책은 문민정부의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세칭 2005.31 교육개혁 방안 , 1995. 5. 31)」에서의 제안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대통령자문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가 마련한 「교육비전 2002(1998)」, 「교육발전 5개년 계획(1999)」에서 '교원평가제도 개선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정책적으로 교원평가제의 논의를 시작한 시기는 2004년이다. 안병영 교육부총리가 공교육의 원천인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해서 교사들이 좀 더 긴장하고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직과 학교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겠다.(2004.2.2) 고 천명하면서 교원평가 도입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 후로 2년간의 제도도입 과정에서 여러 반발과 논의로 어려움을 겪었다. 교원인사제도 혁신 방안 수립을 위한 공청회 (2004.4.23)가 당일 전교조의 반대 집회와 물리적인 저지로 결국 무산되기도 했다(한겨레 2004.04.23). 교원들의 반대가 심해지자 교원능력개발평가제를 기존 근무성적 평가제도와 분리하여 논의하며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학부모 단체나 시민단체는 부적격교사의 퇴출과 교원들의 전문성을 검증해야 한다는 점을 들어 찬성하였으나, 전교조는 강력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며 대립구도가 이뤄졌다.


참고문헌
황영남(2003).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평가 개선 방안 .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연구, Vol.9 No.2, 2003
홍철표(2005). 교사평가제도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 비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숙현(2011).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이후 교원들의 인식 연구(경기도 중등교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
이경호(2010).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2010 ) KCI등재
전제상(2009).다원적 교원평가제의 일원화 가능성 및 방안 탐색 다원적 교원평가제의 일원화 가능성 및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2009
한주희 고수일(2002). 자율성, 과정피드백 및 결과피드백과 동기요인이 직무관련노력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26 No.3 2002
정영수(2001). 교원평가제도의 새로운 방향. 충북대학교 교육생활연구소, (5). 1-22.
정영수(2010). 교원평가제 추진 배경과 향후 전망.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31(1). 1-17.
Peterson, K. D.(2000). Teacher Evaluation: A Comprehensive Guide to New Directions and Practices. Thousand Oaks, CA: Corwin.
김도기, 이정화(2008).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원칙의 비판적 검토 - 교직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6(1). 343-367.


키워드
평가, 교원, 능력, 개발, 교육, 교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