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9일 목요일

칸트, 외적 합목적성

칸트, 외적 합목적성
칸트, 외적 합목적성.hwp


목차
1. 자연의 최종목적에 관한 의문제기
- 반성적 판단력을 통하여

2. 반성적 판단력을 가능케 하는 오성 : 생산적 오성

3. 인간의 문화

4. 자연신학

5. 윤리신학

6. 종합

7. 신의 현존에 관한 도덕적 증명


본문
1. 자연의 최종목적에 관한 의문제기 - 반성적 판단력을 통하여

인간은 자연에서 규정적 판단력만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을 목격한다. 인간은 반성적 판단력을 동원하여 자연에 어떠한 목적이 있으며, 앞서 말한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 어떤 목적을 원인으로 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판단한다. 칸트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이 자연의 합목적성이라는 개념에 이르게 된다고 주장한다.
합목적성은 내적 합목적성과 외적 합목적성으로 분류한다. 이중 외적 합목적성은 자연의 어떤 사물이 다른 사물의 목적에 의한 수단이 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합목적성이다. 합목적적인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목적'인지 먼저 알아야 한다. 따라서 칸트는 자연의 합목적성이 향하고 있는 목적, 즉 최종목적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이에 답하기 위해서 칸트는 자연 세계에 현존하는 유기체들의 목적, 즉 현존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그리고 고찰해본 결과 현존하는 유기체들이 모두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목적이 된다고 결론 내린다. 여기서 '상대적'인 개념은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없고 상대가 있어야지만 존재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칸트는 '상대적'으로 목적이 되는 현존하는 유기체는 자연의 최종목적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만약 자연의 최종목적이 상대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면, 매번 변화하는 목적을 향하여 자연의 체계가 매번 다르게 세워질 것이다. 이렇게 가변적인 체계는 자연에서 관찰되는 합목적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할 수 없다. 결국 자연의 최종목적은 정언적이며 보편적인 대상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자연의 정언적이며 보편적인 목적이 될 수 있는 자연 세계 내의 현존하는 대상은 무엇인가? 칸트는 이에 대해 그러한 최종목적은 '인간'이라고 결론 내린다. 칸트는 이 같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인간은 합목적적으로 형성된 사물들의 집합을 이성에 의하여 목적의 체계로 만들 수 있는 지상유일의 존재자이기 때문이다."(B383)


키워드
목적, 인간, 칸트, 최종목적, 오성, 반성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