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9일 목요일

이콘과 이콘논쟁

이콘과 이콘논쟁
이콘과 이콘논쟁.docx


목차
1.이콘 이란?

2.비잔틴 이콘
*판토크라토르 그리스도
*그리스도와 성 메나스

3.초기 기독교에서 '이미지'에 대한 관점

4.이콘논쟁
*이콘 파괴주의 (Iconoclasm; 726-843)
*제 1차 이콘논쟁(726~787)
*754년 히에리아 종교회의와 787년 니케아 공의회: 이콘 파괴론과 이콘 공경론
*제 2차 이콘논쟁(815~843)과 정통 신앙의 승리

5.이콘의 신학적 요소
- 신을 그릴 수 있는가? 이미지를 통한 그리스도교의 정체성 확보
*이콘 숭배주의의 논리
*성상 이해를 위한 열쇠: 정교주일의 시기송
*이콘 파괴주의의 논리

6.러시아 이콘
*러시아 이콘과 그 화파
*이콘의 주제와 의미
*이콘의 미학

<참고문헌>


본문
-이콘 이란?
동방 정교회에서 신앙의 중요 요소인 그리스도, 성모, 성인 등의 성화상을 말하고 신도의 신앙생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성당 안만이 아니라, 신도의 사택에도 안치되며, 숭배된다. 소위 판화 형식의 것이 가장 많으며, 다음과 같은 과정에서 제작된다. 먼저 목판의 네 둘레를 남기고 안을 얇게 파고 거기에 마포를 붙이고, 위에 아교를 이용해서 설화(雪花) 석고의 가루를 도포하고, 이 위에 텐페라 그림물감으로 성화를 그린다. 크기는 휴대용의 소형부터 성당 내의 이코노스타시스에 거는 대형의 것까지 다양하다. 그 외에 금속의 얇게 쳐낸 것이나 에마이유, 나무나 돌의 부조, 모자이크나 직물 등으로 성상의 형태를 취한 형식도 볼 수 있다.
<이콘>의 명칭은 고대에는 에이콘, 중세 이래 이콘이라고 발음되는 그리스어에 유래하며, <초상>, <유사한 모습>, <마음에 그리는 상> 등이 원래의 의미이다. 이 말이 초기 그리스도교시대의 성당을 이야기 할 때에도 가끔 이용된 점에서, 넓은 의미로 그리스도교 도상 전반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좁은 의미의 즉, 처음에 언급한 판화형식의 성화상을 가리킨다.
이러한 이콘을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되고 있다. 하나는 이콘을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 개화하는 중세의 문화유산으로 바라보는 시각이고, 다른 하나는 비잔티움 동방 정교회의 입장에서 이콘을 성스러운 이미지이자 전례물의 하나로 바라보는 시각이다. 중세의 문화유산으로 바라보는 시각으로는 이콘은 1~4세기경 이집트의 미라 위에 그려진 초상화와 로마 시대에 등장한 황제들의 초상화 기법과 유기적 연관 관계를 맺는 그리스도교의 종교 예술 장르에 속하며, 고대 예술의 기법을 반영하고 있는 역사적 유물로서의 성화, 즉 종교 회화가 된다. 여기서는 이콘의 신학적인 요소나 이미지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초월적 입장이 배제되는 실증주의적인 미술사학적 고찰이 기초를 이룬다. 하지만 동방 정교회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콘은 교회의 전승에 따른 그리스도교의 유기적 전체의 일부이자 교회의 전례를 형성하는 조화로운 총체로 인식되고 있다. 이콘의 이미지는 신의 말씀의 현시이자 신인인 그리스도에 의해 표명된 신의 이미지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볼 때, 이콘은 동방 정교회의 전례의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내재적이면서도 동시에 초월적인 전례의 도구이다.


참고문헌
이덕형, 「천년의 울림」,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덕형, 「이콘과 아방가르드」, 생각의나무
이덕형, 「비잔티움, 빛의 모자이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존 로덴, 임산 역, 「초기 그리스도교와 비잔틴 미술」, 한길아트
대니얼 B. 클린데닌, 주승민 역, 「동방정교회 신학」, 은성


키워드
이콘, 이미지, 동방, 그리스도, 이자, 논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