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멕시코 선택 동기 2. 본문 1) 생산부문 2) 지출부문 3) 소득부문 3. 결론 : 한-미 FTA 발효 이후 한국 경제 전망 본문 1. 멕시코 산업비중 2. 한국 산업비중 3. 양국간 1차 산업 성장률 변화 비교 4. 양국간 2차 산업 성장률 변화 비교 2002년에 2차 산업의 비중 증가 원인 = 마낄라도라 산업의 발달 인근 국가에서 원료와 장비를 무관세로 수입한 다음 조립 및 가공하여 만든 제품을 다시 수출하는 멕시코의 조립 공장 외국인만 소유가능. 현재는 미국계 다국적기업이 장악. 전후방 파급효과의 발생하지 않아, 수출증대로 인한 효과 제한적.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나, 수출과 해외직접투자가 늘어났으나, 실질임금이 늘어나지 않았음 정부의 수출품 경쟁력을 위한 임금인상 억제 정책이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 NAFTA 발효 이후 멕시코 경제의 대미의존도 심화 멕시코의 대미수출 비중 1986~1993년 연평균 72.3% 1994~2004년 연평균 86.9% 수준으로 증가 2001년 9.11 테러로 인한 미국 경기 침체로 멕시코 경제가 영향을 받음 키워드 IMF, GDP, 한국, 멕시코 |
2017년 4월 27일 목요일
NAFTA 이후의 멕시코와 IMF 이후의 한국의 비슷한 추이를 보이는 GDP
NAFTA 이후의 멕시코와 IMF 이후의 한국의 비슷한 추이를 보이는 GDP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