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8일 금요일

파생 오렌지카운티(ORANGE COUNTY BANKRUPTCY) 사례 분석

파생 오렌지카운티(ORANGE COUNTY BANKRUPTCY) 사례 분석
[파생] 오렌지카운티(ORANGE COUNTY BANKRUPTCY) 사례 분석.hwp


목차
1. 개요
2. 오렌지 카운티의 투자 배경
3. 발단
4. 투자상품 매커니즘의 구조 설명
5. 전개 및 결과
6. 시사점


본문
1. 개요
1994년 12월 6일, 캘리포니아 주에서 세 번째로 큰 오렌지카운티(이하 'OC')가 투기적 자금투자로 인한 16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손실로 연방법원에 파산보호조치인 연방파산법 제 9장을 신청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총 200억 달러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가진 OC는 자기 자본금이 75억 달러에 불과했다. Repo를 활용한 차입금으로 위험자산에 투자하였고 94년 12월 6일까지 모두 약 16억 달러를 손해보고 있었는데 자금을 공여한 CSFB는 OC가 담보콜을 막지 못하자 포트폴리오를 반대매매하려 했다. 이에 OC는 급하게 파산신청을 내고 CSFB의 반대매매를 정지시켰다. 이 여파로 OC가 발행한 지방채 5억 달러가 모라토리엄 상태가 되는 등 결과적으로 카운티의 채권과 관련채무 시장이 사라지게 되었다.

2. 오렌지 카운티의 투자 배경
2.1 카운티의 재정적 부담
1978년 주민발의안 13이 통과하였는데 이 법안의 골자는 재산세 상승을 일정 수준에서 묶어 두는 것이었다. 따라서 주정부와 카운티(우리나라의 구, 區)들은 심한 재정적 타격을 입는데 기존의 보수적인 안전자산위주의 운용규칙은 한계가 있다고 느끼게 되었다. 당시 카운티 재무관 협의회장을 맡고 있던 시트론은 펀드의 투자선을 융통성있게 해 달라고 주의회를 상대로 강력한 로비를 전개하고, 따라서 OC는 Repo를 활용한 차입금으로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90년대 초 경기침체로 카운티의 자산가치가 감소하고 재산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이전의 60%수준에서 25%수준으로 급감하는 반면, 채권형 투자대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전 3%에서 35%로 증가하는 등의 당시의 배경또한 시트론의 독단적인 투자의사결정을 용인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키워드
오렌지카운티, 사례, ORANGECOUNTY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