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자유무역협정(FTA)의 개념 2. 우리나라의 FTA 추진현황 3. 한 미 FTA 추진경과 4 한 미 FTA 수출입 관련 핵심 내용 5. 한 미 FTA 수출 전략 및 유망품목 6. 한미 FTA체결에 따른 업종별 영향 7. 한미 FTA체결의 장점과 단점 8. 결론 및 시사점 9. 나의 생각 10. 한-칠레 FTA(그 외의 FTA) 성과 연구 본문 1. 자유무역협정(FTA)의 개념 한미FTA란 무역에 있어 관세 등 장벽을 허물고 상품과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이 이루어져 한국과 미국 사이의 무역에 부가되는 장애나 관세를 완전히(또는 거의 0%에 가깝게) 철폐하여 자유무역을 실현하기 위한 공간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과거에는 회원국간 무역자유화와 원산지규정, 통관절차 등의 규범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FTA의 의미가 무역상의 장벽철폐 외에도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경쟁정책, 정부조달 등 경제활동을 규율하는 대부분의 통상규범들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나 이런 모든 규범들을 반드시 포괄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협정 범위는 체약국가간의 입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우리나라의 FTA 추진현황 FTA는 더 이상 우리 정부만의 일이 아니다. 그동안 정부가 한국과 칠레의 FTA를 체결하고 한국과 싱가포르의 FTA를 타결하는 동안 일반 국민들, 대부분의 기업들은 정부가 해야 할 일을 하는 것 일뿐 내가 참견할 일이 아니라는 태도를 보여왔다. 한국과 칠레의 FTA 추진 과정에서 일부 농민들이 FTA 체결로 인해 다가올 피해에 대한 보상을 더 많이 받아내고자 열심히 시위에 참여하는 모습을 각종 언론을 통하여 접하였을 뿐이었다. 칠레와의 FTA 체결로 득이 있는 분야도 있고 실이 있는 분야도 있다. 하지만 득보다 실이 더 많은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미국과의 FTA에 대해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제 우리 일반 국민들도 모르는 사이에 FTA의 영향을 이미 받고 있다. 조금만 이름난 식당에 가면 누구나 주문할 수 있는 칠레산 와인은 우리나라가 칠레와의 FTA를 추진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아직 우리에게는 맛보기 힘든 술이었을 것이다. 키워드 업종별영향, 자유무역협정, 한미FTA |
2017년 4월 28일 금요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업종별 영향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업종별 영향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