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8일 금요일

카지노와 복합리조트산업

카지노와 복합리조트산업
카지노와 복합리조트산업.hwp


목차
서론
1. 복합리조트의 개념

본론
2. 복합리조트 사례
3. 우리나라 복합리조트 상황

결론
4. 국내 카지노산업 발전방안




본문
2. 복합리조트 사례

1) 현대 카지노의 발상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호화 시설을 구비한 초대형 호텔과 컨벤션센터를 갖춘 라스베가스, 연간 관광객이 5천만명에 육박한다. 하지만 이제 도박도시의 일인자의 자리는 마카오에게 넘겨주고 윈, MGM, 샌즈의 주도 하에 기존 카지노를 복합 리조트로 개발, 운영 중이다.
휴양도시로 거듭나며 업계는 '투어리스트' 대신 '리조티스트'라는 말을 만들어 내고, '갬블링'이라는 단어도 '게이밍'으로 순화했다. 이 결과로 라스베가스는 더 이상 마피아의 폭력과 돈세탁, 도박과 환락의 도시가 아닌 가족단위 관광객들이 어린 자녀의 손을 잡고 카지노 게임장 옆에서 쇼핑을 즐길 만큼 분위기가 달라지게 되었다. 현황을 보면 복합리조트의 전체 매출에서 카지노가 차지하는 비율은 급속히 줄고 있다. 엠지엠리조트 인터내셔널의 라스베이거스리조트 '시티센터'는 지난해 전체 매출의 75%를 게이밍 부문이 아닌 데서 올렸다고 발표했으며, MGM 회장인 제임스 머렌은 '단순한 카지노 호텔을 짓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 복합리조트는 살아있는 생물체로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며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카지노 산업이 전에 비하면 큰 비중으로 사려 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미국 업계 관계자들은 "투자자들의 자금을 끌어들이고 안정적인 경영을 보장하기 위해선 게이밍 시설이 필수이기 때문에 여전히 카지노 산업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2) 잠들지 않는 카지노와 호텔의 도시, 마카오

마카오도 카지노를 갖춘 복합리조트 산업으로 탈바꿈한 곳이다. 마카오는 카지노 재벌 스탠리 호(何鴻桑)가 40여년간 도박산업을 독점하다 지난 2002년 외국계 회사에 카지노산업을 개방하면서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성장했다. 샌즈, 갤럭시, MGM그랜드 등 6개 업체가 새로 카지노 면허를 받아 초대형 카지노 호텔을 짓기 시작해 도시가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2006년에는 를 넘어서 전 세계 1위의 카지노 도시로 등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해 마카오의 34개 카지노가 벌어들인 돈은 약 38조5000억원으로 세금만 1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인천시의 세수(稅收) 2조60억원보다 7배 많은 돈이다. 카지노에서 거둬들인 수입은 관광개발에 재투자해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다. 마카오는 오는 2015년까지 타이파섬과 콜로안섬 사이의 매립지에 총 150억달러를 투자해 종합 휴양지로 만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키워드
복합리조트산업, 리조트, 카지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