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8일 금요일

태산엘시디의 환 위험 관리 실패사례

태산엘시디의 환 위험 관리 실패사례
태산엘시디의 환 위험 관리 실패사례.doc


목차
I 서론
1. 기업소개 및 기업선정
(1) 기업소개
(2) 기업선정 동기
2. 환 위험 의의 및 관리의 필요성
(1) 환 위험의 의의
(2) 환 위험 관리의 필요성

II 본론
1. 태산엘시디가 가입한 파생상품소개
(1) KIKO
(2) PIVOT
(3) 두 상품의 차이점
2. 태산엘시디의 부도
(1) KIKO에 의한 손실
(2) PIVOT에 의한 손실
3. 재무분석

III 결론
1. 전문가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KIKO상품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2. 실패의 요인 및 제안 점
3. 느낀 점

IV 참고문헌

본문
I 서론

1. 기업소개 및 선정동기

(1) 기업소개
' 태산엘시디(주) Taesan LCD Co., Ltd. '
태산엘시디는 액정표시장치 생산업체로 1983년 최태현, 최태윤이 (주)태산엔지니어링으로 창업해 1999년 태산엘시디로 상호를 변경, 코스닥에 상장한 수출비중이 약 97%에 이르는 중소기업이다. 주요 취급품목은 LCD 백라이트 유닛으로 2007년 당시 상시 종업원 1215명, 매출액 6342억 원에 부채비율 200% 수준, 유보율 900% 이상의 재무상태도 양호하며 주가도 15000원대까지 올랐던 작지 않은 중소기업이었다. 뿐만 아니라 2005년 업계최초로 백라이트 유닛 화면 자동 검사 장비를 개발해 기술력 또한 인정받았다. 하지만 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택한 환 헤지 파생상품 KIKO와 PIVOT의 파생상품손실로 인해 2008년 9월 17일 전년대비 많은 영업이익흑자에도 불구하고 흑자부도를 맞고 서울 중앙지방법원에 회상절차 개시 신청을 하게 된다.

(2) 기업선정 동기
1980년 변동환율제도가 정립되면서부터 환율의 변동폭은 커지기 시작했다. 이로 인하여 환율거래를 필요로 하는 무역회사와 같은 기업들은 항상 위험에 노출되곤 하였다. 환율의 변동폭이 확대되면, 환 위험 관리에 실패하여 외환 위기 때와 같이 위험의 노출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환율의 변동 폭이 크지 않을 때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변동 폭이 커질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감안할 때, 환 위험을 관리하지 않거나 관리에 실패하면 시장 충격은 예상보다 클 수 있다. 대외거래가 많은 기업들이나 환율이 한쪽 방향으로 추세를 보이는 것이 유리한 시장 참여자들은, 위험에 대비하지 않으면 본인은 물론 국민 경제 전체를 위기로 몰고 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정확한 환율 예측과 환 위험 관리의 필요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었다. 이로 인해 출몰한 많은 파생상품들은 때로는 위험에서 그들을 구해주기도 하지만, 아래서 살펴볼 'KIKO, PIVOT으로 인한 '태산엘시디의 붕괴' 와 같이 잘나가던 기업을 한 순간에 기업 회생 절차를 밟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우리 8조는, 태산엘시디의 환 위험 실패사례의 조사를 통하여 앞서 강조하였듯이 환 위험 방지가 왜 중요하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 선택한 상품인 KIKO와 PIVOT의 특징과 2008년의 환율 상황의 비교를 통하여 어떤 점이 문제가 되었는지를 짚어보고자 이를 선택, 조사 하게 되었다. 또한 필수불가분의 구입인 환 헤지 파생상품을 기업이 어떻게 하면 보다 잘 예측하여 구매를 하고, 보다 안정적인 무역거래를 할 수 있을지에 관하여 조원들의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블로그
-'태산LCD와 KIKO' blog.naver.com/naulboo/70035082792
-'KIKO손실로 태산엘시디 희생절차신청, 파생상품의 위험성' http://chiwoo2030.tistory.com/285
-http://blog.naver.com/thkim311/50035710855
-http://km.naver.com/list/view_detail.php?dir_id=90201&docid=31759327
-http://cafe.daum.net/CBNU.AAA/OFrk/6
-http://blog.naver.com/kwyang71/70035099929
-http://cafe.naver.com/sustock.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93&
http://cafe.daum.net/CBNU.AAA/OFrk/6?docid=1FQwa|OFrk|6|20080929115511&q=KIKO%B0%E8%BE%E0&srchid=CCB1FQwa|OFrk|6|20080929115511

*공식사이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태산엘시디 공식 홈페이지 http://www.taesanlcd.co.kr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경실련 ' 토론회 KIKO 사태의 합리적 해결 방안 모색' - http://www.ccej.or.kr
-파이낸셜 뉴스- '안만호, KIKO손실에 태산 무너졌다' (2008, 9. 17)
-한국일보 최진주, 돈줄 마른 건설사 中企 피 마르는 부도 공포' (2008, 9, 17)
-서울경제 - 황정수, 태산엘시디, 이틀연속상한가 (2009, 1, 19)

*참고문헌
-환율에 '휘청' 피해액 2조 원 넘었다. 벼랑 끝에선 '중소기업' 한국 경제 매거진 671호 (2008년 10월)
-지금당장 환율공부 시작하라 - 윤채현. 박준민 (한빛비즈(주), 2009) p.216
- '한국 기업의 환 위험 수위' - LG경제연구원 보고서 (2009년 8월)
-'환 헤지를 위한 통화옵션(KIKO)의 구조와 이해.' - 서태원 신한은행 금융공학센터장



키워드
실패사례, 태산엘시디, 관리, 위험, 환 위험의 의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