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1)커피산업의 시장분석 2. 스타벅스의 촉진(Promotion)전략 3. 스타벅스의 STP전략 분석 4. (1) 경영성과(매출액, 시장점유율, 브랜드인지도 등) 출처 본문 1. (1)커피산업의 시장분석 1) 우리나라 원두커피 도입배경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고객들에게 대접하는 다방커피와 커피숍이 주를 이뤘던 우리나라에 1999년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1호점 개점을 시작으로 원두커피와 일회용 컵에 손님이 직접 커피를 받아와서 들고 나가서 마시는 '테이크아웃'문화, 한 차원 업그레이드된 제3의 공간에서의 커피 문화 등의 생소한 컨셉트를 가지고 미개척지인 시장에 선도자로서 커피시장을 만들어갔다. 지금은 들고 나가서 마시는 커피문화에 익숙해 졌지만 테이크아웃이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기까지 당시엔 무척 어색하고 받아들여지기 쉽지 않은 습관이었다. 그래서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전 직원이 출근길에 커피를 한잔씩 들고 다니며 에스프레소를 소개하고 커피 문화를 한 차원 업그레이드 시키는 선도 브랜드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했다. 2) 커피시장 우리나라의 커피산업은 크게 인스턴트커피, 커피음료, 원두커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국내 커피시장은 연간 3조원규모로 커피믹스가 1조 2,800억원(40%), 원두를 사용하는 커피 전문점은 1조 1,200억원(35%) 마지막으로 시중에 판매하는 커피음료가 6,400억원(25%)에 이른다고 한다. 커피시장에서 커피믹스가 주를 이뤘던 1990년대 이전에 비해 원두커피시장의 규모가 눈에 띄게 성장하였지만 여전히 인스턴트 커피시장이 1등을 하고 있다. 커피믹스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무한 사랑 때문일까? 스타벅스에서 고가 인스턴트커피 '비아'를 새로 출시하면서 커피믹스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에 동서식품에서 내놓은 '카누'는 스타벅스 '비아'의 1/3 가격으로 저가전략을 쓰며 맞대응하고 있다. 현재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율이긴 하지만 원두커피전문점 시장이 짧은 시간 내 고성장으로 포화상태로 접어들면서 커피전문점들이 음료업계와 손잡고 마트, 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RTD 음료 제품을 선보이며 신 개척지로 RTD 시장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으로 앞으로 커피음료 시장이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머니투데이"동서-스타벅스 커피믹스 전쟁 ", MK뉴스 "커피믹스 춘추전국시대", 네이트 지식인 "국내 커피산업 시장조사", News Tomato"포화상태 커피전문점, 커피음료시장에 눈독 " '스타벅스 100호점의 숨겨진 비밀' - 맹명관 저, '스타벅스 감성마케팅' - 김영한.임희정 저, 오마이뉴스 2011.05.22자 "카페베네 매장 관리 안되니 커피 맛 떨어져", 시사저널 2012.05.02자 '호모 나이트쿠스, 잠든 밤을 깨웠다' Howard & Dori Jones, 1999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 나온 스타벅스. 'You've Got Mail'에 나온 스타벅스. 모든 도표자료-스타벅스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마케팅 전략 : 사례연구 / 김우실 外著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브랜드스톡(www.brandstock.co.kr) 키워드 마케팅, 스타벅스, 사례, 성공, 스타 |
2017년 4월 29일 토요일
스타벅스 마케팅 성공 사례 분석
스타벅스 마케팅 성공 사례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