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 현황 및 문제 제기 2. 목적 3. 목표 4. 기대방향 5. 프로그램 개요 6. 프로그램 일정 7. 세부 프로그램 8. 1회 세션 구성 9. 평 가 10. 지역자원 활용 본문 1. 문제 현황 및 문제제기 1) 다문화 가정 현황 및 실태 우리나라의 다문화시대는 6ㆍ25전쟁을 전후해서 대규모적인 초기국제결혼과 혼혈 1세대를 중심으로 도래하기 시작했다. 국제결혼의 시작은 한국전쟁 후 미군과 한국인 여성과의 결혼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국내 혼혈인은 3만 5천 명 정도로 추산된다. 펄벅 재단에 따르면 국내에 살고 있는 미국계 혼혈인 5천 명, 코시안 3만 명 정도이다. 세계화와 초일류국가주의 건설이 본격화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경제적으로는 지구상의 단일시장 형성을 서두르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의한 사회분화는 사회구성원의 자족기능을 크게 후퇴시키고 사회의존성을 증대시켜서 다양한 가치와 방법이 존중되는 사회로 급속하게 발전해 가고 있다. 세계화 시대의 지구촌, 글로벌 사회라는 단어가 친숙해진 것도 이 때문이다. 1960년대부터 빠르게 시작된 교통, 통신의 발달로 지구촌이라는 말은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국제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되어 가는 것도 이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 이주 노동자가 40만 명을 넘고 있으며 국제결혼 비율이 13%를 상회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농어촌의 경우는 외국인 거주자가 40%에 육박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는 120만 명을 넘고 있다. 특히 일부 농촌 지역이나 중소도시에는 외국인 결혼이주자가 20∼50%에 이르고 있다. 실제로 2005년도 한 해의 다문화결혼은 43,121건으로 국민결혼의 13.6%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민 8쌍 중 한 쌍이 다문화 결혼가정이다. 1990년부터 2005년도까지 15년간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결혼이 159,942건에 이르고 있다. 1995년 27만 명에 불과하던 체류 외국인 수는 2005년 74만 명으로 증가하였으며, 2006년 들어 불과 3개월 만에 6만여 명이 증가되어 2006년 3월 말 현재 80만 명을 돌파하였다. 체류 외국인 100만 명 시대가 당초 예상했던 2010년보다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구체적인 통계자료는 다음과 같다. 키워드 외국, 결혼, 다문화, 국제, 한국, 가정 |
2016년 8월 27일 토요일
다문화 가정 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공감대 형성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다문화 가정 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공감대 형성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