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남 북간의 언어 차이 1) 말소리의 차이 2) 어휘의 차이 3) 의미 변화에 의한 차이 4) 문장과 어법의 차이 5) 맞춤법의 차이 2. 새터민의 언어 특징 1) 어휘 및 표현의 측면 2) 발음 및 어조의 측면 3) 문화의 측면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직장생활을 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이 계속해서 그 생활을 지속할 수 없는 이유가 '언어능력'에 문제가 있어서라는 결과가 있다. 그 다음은 '대인관계', '일하는 능력'순이었다.(NK1~NK4) 언어능력과 대인관계는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항목이다. 의사소통 능력은 곧, 대인관계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북한이탈주민에게 있어 언어능력 부족이 북한이탈주민의 일상을 매우 불편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런데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 사람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생소한 단어', '단어의 의미 차이', '발음 및 억양', '대화상황' 순으로 답했다.(NK1~NK5) '생소한 단어'와 '단어의 의미 차이'는 어휘의 문제다. 외래어 혹은 북한에 없는 단어, 남북한이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어휘 때문에 곤란을 겪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런데 남한 출신들은 발음이나 억양, 혹은 언어예절의 차이가 의사소통의 방해요소로 작용한다고 했다.(SK1~SK4) 남북한 출신 모두 서로 대화를 나누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은 일치하지만, 그 원인은 서로 다른 것에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엇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어휘 때문에 남한 사람들과 대화하기 어렵다고 여기고 있는데 남한 사람들은 어휘의 문제는 그리 큰 문제로 여기고 있지 않았다. 반면 남한 사람들이 북한이탈주민과의 의사소통의 불편 요소로 꼽고 있는 '발음 및 억양'과 '언어 예절'을 북한이탈주민들은 중요한 사항으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 이것은 시사 하는 바가 크다고 보며 그 차이를 다음과 같이 먼저 살펴보았다. 1. 남 북간의 언어 차이 한반도(韓半島)는 오랜 동안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이었다. 그럼에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허리가 잘려 서로 내왕을 하지 못하게 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남북한의 언어는 차이가 나게 되었다. 참고문헌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어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1999 고영근,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989 국립국어연구원, 국화순화자료집, 을유문화사, 1992 국어사정위원회, 다듬은 말,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86 권재일, 남북 언어의 문법 표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김민수, 남북한 언어의 차이(1), 새 국어생활 제5권 제2호, 국립국어원, 1995 문금현 외,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적응을 위한 실태연구, 국립국어원, 2005 이현복, 남북한 언어의 발음차이에 관하여, 서울: 교육한글, 2000 이호영, 국어운율론』, 서울: 한국연구원, 1997 이호영 외, 새터민 언어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2009 전학석, 함경도 방언의 음조에 대한 연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8 한정미 외, 새터민들 언어 적응 지원을 위한 새터민 교사 연수 자료집, 국립국어원, 2010 홍종선 최호철, 「남북 언어 통일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1998 http://www.korean.go.kr/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http://www.unikorea.go.kr/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홈페이지) 하고 싶은 말 남북한 언어차이와 새터민 언어소통문제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새터민, 남북간 언어차이, 어휘의 차이, 이념과 제도차이, 새터민 언어소통 |
2016년 8월 30일 화요일
남북한 언어차이와 새터민 언어소통문제
남북한 언어차이와 새터민 언어소통문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