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29일 월요일

여성앵커의 역할과 인식변화

여성앵커의 역할과 인식변화
여성앵커의 역할과 인식변화.hwp


목차
Ⅰ. 앵커와 아나운서의 정의

Ⅱ. 여성 아나운서의 현 주소

Ⅲ. 여성 앵커의 위치

Ⅳ. 여성 아나운서의 수난시대

Ⅴ. 성차별적 요소

Ⅵ. 여성 아나운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

Ⅶ. 사회 인식적 노력

Ⅷ. 개선책


<참고문헌>


본문
Ⅱ. 여성 아나운서의 현 주소

여대생들이 가장 선망하는 직업조사를 해보면 늘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직업이 있는데 바로 아나운서이다. 또박또박한 말솜씨, 사회를 읽는 정확한 눈을 가진 지적이고 엘리트적인 이미지로 대변되는 여성아나운서의 모습은 여대생들에게 선망의 대상이다. 이처럼 우리가 느끼는 여성 아나운서의 모습은 분명 매력적이지만, 그 이면에는 여성을 아름다운 외모와 젊음으로 평가하는 구시대적 발상이 배여 있다. 이는 실제 아나운서 채용기준에서부터 드러나게 된다. 아나운서의 채용기준은 방송국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개 1년에 한번 정도 채용을 한다. 여성의 경우 미혼으로 4년제 이상 대졸자, 남성은 병역을 필한 4년제 이상 대졸자로 제한하고 있다. 채용과정은 방송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차 바른 언어 구사력, 용모테스트, 2차 필기, 3차에 다시 바른 언어 구사력과 용모테스트, 4차 면접으로 이루어진다. 2차 필기시험을 제외한 모든 시험에 외모와 관련된 테스트가 있는데, 이는 TV방송의 경우는 직접 시청자들에게 얼굴을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필수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은 유독 여성에게만 외모가 중시된다는 점이다. 즉, 여성 아나운서는 호감 가는 외모가 좋은 점수를 받는데 반해, 남성 아나운서는 풍부한 경력이 좋은 점수를 받게 되는 것이다. 실제 아나운서들의 인터뷰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간부진들은) 여성의 경우 아무래도 나이 든 사람보다 적당한 나이에 신선함을 갖고 있는 사람을 원한다 (30대 미혼 앵커) 등의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여성 아나운서의 선발기준을 능력보다 외모 라고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의 진행자 선발에 있어서도 외모와 나이는 큰 영향을 미친다. 물론 선발 제도가 있기는 하다. 방송사의 뉴스 아나운서는 공개 오디션으로 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공개 오디션의 선발 기준은 밝혀진바 없이 모호하다.

참고문헌
백지연(2003) MBC뉴스 백지연입니다, 문예당
백지연2008) 앵커는 닻을 내리지 않는다, 문예당
이규원(2010) TV뉴스 여성 앵커들의 직업인식과 방송사 조직의 성차별적 관행, 이화여대
이규원(2004) 한국 여성 앵커의 위상과 전문성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황정민(2012) 젊은 날을 부탁해, 마음산책
황현정(1999) 황현정의 신세대 앵커 만들기, 문예당


하고 싶은 말
여성앵커의 역할과 인식변화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여성앵커, 인식변화, 외모지상주의, 사회인식적 노력, 스타아나운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