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제도이론이란? Ⅲ. 심리학적 입장에서의 반론과 그에 대한 반론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제도이론이란? 제도이론의 가장 유명한 학자는 조지 디키이다. 그의 최초의 정의에 의하면, 예술작품이란 인공품으로서, 예술계라고 부를 수 있는 어떤 사회제도의 편에 서서 행동하는 사람들이 그 인공품의 어느 국면에다가 감상을 위한 후보의 자격을 수여해 놓은 것이다. 즉 조지 디키는 예술의 내재적 성질이 아닌 예술 외부의 사회제도나 관습적이 요소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디키의 입장은 예술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그 기능을 해야 하는가와 같은 가치 평가의 문제보다는 분류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조지 디키의 정의의 분류적 의미란 예술과 비예술을 분류해 주는 의미로서의 정의일 뿐 좋고 나쁨의 정의가 아니다. 또한 조지 디키의 제도라는 개념은 법적으로 정해진 거라고 보기보다는 '확립된 활동'을 의미한다. 조지 디키는 예술작품이란 어떤 사람에 의해서 "내가 이 대상을 예술작품이라고 명령한다."라고 말해진 대상이라는 것이다. 이런 것은 오스틴의 수행언어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자면 우리가 약속해, 사과해와 같이 진술이면서 행위인 것을 말한다. 즉 진술을 통해서 사실이 되는 것으로 선언 자체가 행위를 대신하는 것이다. 이런 주장으로 제도이론을 뒷받침하는데, 즉 제도적 장치와 수행적 행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어떤 작품이 A라는 미술관 전시되었다는 것은 그 작품이 예술이라고 공표되는 것이다. 이런 공표, 지위수여는 예술계에서 행해지게 된다. 이러한 예술계는 단토의 주장에 착안한 개념으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어떤 것으로서 예술가, 제작자, 박물관 관장, 예술 비평가, 예술사가, 예술 이론가, 예술 철학자 등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김요한, 예술의 정의, 서광사, 2007 이중톈, 이중톈 미학강의, 김영사, 2009 미학대계간행회, 미학대계 제2권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조지 디키, 미학입문, 서광사, 1983 구근하, George Dickie : 반미학적 전통과 미적태도의 문제(석사학위), 영남대대학원, 2006김진엽, 예술이란 무엇인가? : 현대 영미 미학의 답변, 美學 藝術學硏究, 통권 제16호, 2002 하고 싶은 말 제도이론을 통한 예술의 정의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제도이론, 예술의 정의, 심리학적 입장, 오스틴의 수행언어, 조지디키 |
2016년 8월 30일 화요일
제도이론을 통한 예술의 정의
제도이론을 통한 예술의 정의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