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1일 수요일

중국 정부의 한국 TV드라마 수용의도

중국 정부의 한국 TV드라마 수용의도
중국 정부의 한국 TV드라마 수용의도.hwp


목차
Ⅰ. 서론

Ⅱ. 중국내 한국 TV드라마 수용 현황

Ⅲ. 중국 정부의 치국목표와 문화정책

Ⅳ. 중국 정부의 한국 TV드라마 수용의도
1. 유교자본주의 강화
2. 문화적 정체성의 확립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중국내 한국 TV드라마 수용 현황

한국의 TV프로그램 수출은 1994년부터 본격화 되었다. 문화관광부의 분석에 의하면 2003년 방송프로그램 수출은 국가별로 볼 때 아시아 국가가 93.9%로 집중되었다. 그 중에서 중국은 10.8%로 일본(57.4%), 대만(15.3%)에 이어 3위를 차지하였다.
중국은 원래 방송법으로 외국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비율과 방송시간대를 통제하고 있다. 자세하게 보면, 동일국가나 지역에서 만들었거나 소재가 중복되는 드라마의 수입을 피해야 하고 궁중극이나 무협극은 연간 수입극 총량의 25%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또한 황금시간대(18시-22시)에 방영하는 수입극의 비율을 15% 이내로 통제해야 하며 동일한 수입극을 3개 이상의 각 성급 방송국 위성프로그램 채널에서 방송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 드라마는 예외로 적용되어 저녁 황금시간대에 편성하였다. 다른 국가와 달리 한국 드라마는 충분히 이용가치가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2000년 중국에서 방영된 한국 드라마는 모두 67부이며 실제로 재방송된 횟수가 316회에 이르러 61회에 그친 일본 드라마를 크게 앞질렀고, 2003년과 2004년 중국 TV에서 공식적으로 방영된 드라마는 348부가 방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중국 전체에 수입된 외국 드라마 중 25.4%의 점유율로 한국 드라마가 중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곽수경, 중국의 한국드라마와 한류스타 현상, 중국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05
김병채, 현대신유학과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중국학보, 한국중국학회, 2008백지운, 동아시아에서 한류 소비에 나타난 아시아 노스탤지어, 중국어문학, 영남중국어문학회, 2006
송진영, 현단계 중국의 문화산업과 중국의 전통서사문화, 중국어문학지, 중국어문학회, 2004
양갑용, 중국 문화산업정책 지식생산 기제 연구, 중국학연구, 중국학연구회, 2011
이승환, 중국의 유교자본주의론에 대한 반사, 사회과학연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이평식, 중국 문화산업 및 시장에 대한 정치경제적 분석, 한중사회과학연구, 한중사회과학학회, 2004
이희재, 화이관에서 본 한류, 철학연구, 대한철학회, 2003


하고 싶은 말
중국 정부의 한국 TV드라마 수용의도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한국 TV 드라마, 중국정부, TV드라마 수용의도, 문화적 정체성, 중국정부의 문화정책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