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1일 수요일

중국 영화의 역사

중국 영화의 역사
중국 영화의 역사.hwp


목차
Ⅰ. 대중문화, 상업영화와 영희전통

Ⅱ. 나래주의와 영화의 민족화

Ⅲ. 1949-1976년대 영화

Ⅳ. 4세대 영화

Ⅴ. 5세대 영화

Ⅵ. 영화계의 6세대


본문
Ⅱ. 나래주의와 영화의 민족화

서구의 현대 과학문명이 창조해 낸 20세기 새로운 예술형식인 영화는 중국으로 말하자면, '새로운 것'이면서 동시에 '서구의 것'이었다. 한 국가가 현대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외래품을 자국화하는 과정은 피할수 없는 것이다. 영화 또한 마찬가지로 대중문화의 하나로서 중국에서는 시작부터 복잡한 자국화 문제에 직면했다.
대중문화로서 1930년대 이전의 중국영화가 장르영화에 대한 탐색기였다면, 예컨대 국산영화를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할 무렵인 1920년대의 중국 영화시장은 이미 외국영화의 수입 수량이 압도적이었다. 특히 미국의 장르영화가 중국 영화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것은 종종 국산영화를 제작하는 시금석이 되었다.(애정영화, 탐정영화, 괴담영화, 무협영화, 시대극, 코미디영화, 공포영화 등등)
그러나 1986년에 영화가 중국에 처음 유입된 때부터 1949년까지 상업영화시장에 다량으로 쏟아져 나온 외국영화 중에서 중국의 주류영화에 진정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영화는 극히 일부이다. 여기에는 물론 1949년 이후 국가의 정치환경이 변화한 것을 비롯해 여러 가지 요인이 존재하는데, 1928년부터 1931넌 사이에 다량으로 제작되었던 무협영화와 괴담영화는 1932년이후 급격히 감소해서 한동안 제작이 중단되었다가 개혁개방이후 시장화에 따라 다시 출현하고 있다.1990년대 중후반 이후 장이모, 천카이커 등 5세대 감독들에 의해 거듭 재현된 시대극을 제외한 기타 장르영화는 1930년대 이전에 일시적으로 생겼다가 곧 사라졌을 뿐 만 아니라 오늘날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중국영화의 역사를 일별해보았을 때 영화사 초기부터 오늘날까지 긴 생명력으로 연속성을 보이고 잇는 장르는 정정추 감독이 구축한 영희영화, 곧 멜러드라마 장르가 유일한데, 영화영화는 1930년대 좌익영화 문화운동과 결합하여 내러티브 구조면에서 연속성을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영상언어를 활용하거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1세대 영화인들을 초월했다.

하고 싶은 말
중국 영화의 역사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중국 영화, 나래주의, 천카이커, 중국 4세대 영화, 지하영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