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등장배경 2. 게슈탈트 심리학 3. 게슈탈트 심리치료 - 개념/특성 - 인간관 - 상담목표 - 기법 - 상담자의 역할 4. 공헌점과 비판점 본문 01 등장배경 프릿츠 펄스(Fritz Perls) 독일 베를린 출신의 유태계 미국인인 정신과의사 1926년 쿠르트 골드슈타인의 "전체로서 통합되 유기체" 이론 접함 1936년 프로이드의 정신분석과 멀어지기 시작 개체와 환경을 하나의 전체적인 통합체로 보는 새로운 시각 확립 1950년 "알아차림" 에 관한 이론 정립 처음으로 "게슈탈트 치료"라는 용어 사용 1960년 인본주의 심리학의 흐름을 주도 골드슈타인 유기체이론 + 스마트 생태학 이론 (중략) 3.2 인간관 개체는 장을 전경과 배경으로 구조화하여 지각 개체는 장을 능동적으로 조직하여 의미 있는 전체로 지각 개체는 자신의 현재 욕구를 바탕으로 게슈탈트를 형성하여 지각 개체는 미해결된 상황을 완결 지으려는 성향 개체의 행동은 개체가 처한 상황의 전체 맥락을 통해 이해 내담자 문제론 게슈탈트를 잘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심리적 신체적 장애 게슈탈트의 형성과 해소(전경과 배경)가 분명하지 못할 경우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몰라 의사 결정이 불분명하고 혼란 유기체가 미해결과제가 있는 경우 개체는 자신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는데 실패하게 되어 심리적 신체적 장애 상담자론 상담자는 내담자의 게슈탈트 형성과 전경과 배경의 교체, 미해결된 과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조력자 키워드 게슈탈트, 특성, 인식, 접촉, 배경, 심리학 |
2016년 8월 30일 화요일
게슈탈트 심리학과 심리치료 연구
게슈탈트 심리학과 심리치료 연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