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1일 수요일

일본의 사무라이

일본의 사무라이
일본의 사무라이.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본 사회의 특징
2. 일본인들에게 영향을 미친 사무라이 정신
3. 사무라이의 역사
4. 사무라이 정신에 입각한 일본 기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일본 사회의 특징
첫 번째로 가장 큰 일본사회의 특징은 다테사회이다. 다테는 일본어로 縱(たて)라고 하는데, 세로라는 뜻이다. 그래서 다테의 관계라고 하면 종적관계를 의미하며, 상대와 신분의 관계에 따라 자신이 취할 태도나 행동을 결정하는 대인관계를 말한다. 물론 이러한 관계는 한국, 미국, 유럽등 인간사회에는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일본의 경우와는 다르다.
어떤 상황이 도덕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어떤 평가나 비난을 받느냐는 판단보다, 개인적인 의리와 신분상의 예속이나 종속 관계를 더욱 중시하는 사고방식을 가진 상하관계이다. 예를 들어, 에도 시대의 의리 있는 무사라면, 윗사람으로부터 은혜를 입었을 경우, 이를 갚았다고 해서 이걸로 끝났다 라고는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 아무리 갚아도 아직 마음의 빚이 남아있다고 느낀다. 말하자면 상하관계에서 한번 은혜를 입으면 평생 윗사람을 공경하는 인간관계가 생긴다. 이러한 정신은 현대일본의 기업윤리에서도 볼 수 있다. 일본기업은 한번 거래를 시작 하는한, 웬만해선 거래처를 바꾸지 않는다. 아무리 거래처의 경쟁기업이 더 싼 가격을 제시하더라도 눈앞의 이익보다는, 원래 거래처와의 의리를 중요시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타인 지향성과 집단 귀속성이 있다. 타인 지향성이란 다른 사람이 시키는 대로 하기 쉬우며, 다른 사람의 판단에 동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집단 귀속성이랑 집단의 일원으로 행동하는 습관이 있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심하지 못하는 성향을 뜻한다. 일본인은 남보다 앞장서서 새로운 일이나 행동을 하는데 지나칠 정도로 소극적이다. 그러나 자신의 주변 사람들 몇 명이 새로운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하면 뒤에 남은 사람들도 초조하게 느끼면서 그 뒤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일본인은 남의 눈을 의식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에 다니는 자녀가 부모에게 장난감을 사 달라고 조를때, 부모는 이렇게 묻는다고 한다.

참고문헌
니토베 이나조, 일본인들의 무사도 정신, 이만희, 학문사, 2002
伊丹敬之, 日本企業의經營原理, 韓亭日, 比峰, 1992
이카게미 에이코, 사무라이의 나라, 남명수, 지식노마드, 2008
케멀 야마모토, 미국, 중국, 일본의 비즈니스 행동법칙, 정영희, 옥당, 2009
박승무, 선비와 사무라이, 아침, 2003
일본경제신문사, 2011 일본업계지도, 박정애, 랜덤하우스, 2011



하고 싶은 말
일본의 사무라이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일본 사무라이, 사무라이정신, 일본기업, 다테사회, 타인지향성

댓글 없음:

댓글 쓰기